앞서 가던 차량이 급정거하자 뒤따르던 차량의 내부 모니터에 '급정거 주의'라는 경고 메시지가 뜬다. 무슨 일이 벌어졌는지 궁금하던 찰나 상공에서 드론이 찍은 고화질 영상이 모니터로 전송된다. 화면 속에는 앞 차량에 가려 보이지 않던 선행 차들이 서로 얽혀 있다. 눈에 보이지 않던 사고 현장 모습이다.
지금보다 수십 배 빠른 5세대(G) 통신망을 이용해 초대용량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주고받으며 운행하는 커넥티드 카(Connected Car)가 세계 최초로 시운전에 들어갔다.
SK텔레콤과 BMW코리아는 15일 영종도 BMW 드라이빙센터에서 5G 통신망을 이용한 커넥티드 카 'T5'를 공개하고 미래 주행 기술을 선보였다. 드라이빙센터에 구축된 5G 시험망은 세계 최대 규모로, 대규모 통신망을 이용한 커넥티드 카 주행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 움직임을 보이는 자율주행차보다 외부와 정보를 주고받는 속도와 정보량이 압도적으로 우세하기 때문에 커넥티드 카는 보다 완벽한 주행이 가능한 셈이다.
커넥티드 카는 말 그대로 주변 사물들과 인터넷으로 연결돼 신호등'CCTV 등이 보내오는 각종 교통정보는 물론 다른 차량의 운행정보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자동차를 일컫는다.
주고받는 데이터가 많다 보니 커넥티드 카 주행에는 5G와 같은 초고속 통신망이 필수적이다. 5G 통신망의 전송 속도는 20Gbps(초당 기가비트)로 기존 4G(LTE)보다 10배 이상 빨라 대용량 데이터 전송에 적합하다. 기지국과 단말 간 통신 시간은 1천 분의 1초로, 사람이 사물을 감지하는 속도보다 25배 빠르다. 5G를 커넥티드 카에 적용하면 고속으로 움직이면서도 교차로 신호 변화나 사고 등 돌발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SK텔레콤은 이번 시연을 위해 글로벌 통신장비업체 에릭슨과 함께 총길이 2.6㎞ 트랙에 5G 시험망을 구축했다.
시연에는 'T5'를 비롯해 두 대의 커넥티드 카가 사용됐다. 자동차 마니아로 유명한 방송인 김진표가 'T5'를 타고 실시간으로 앞 차량과 소통하며 트랙을 주행했다.
BMW의 SUV 차량 X5를 개조해 만든 'T5'는 시연 과정에서 소통하는 스마트 자동차의 모습을 보여줬다. 자율주행은 물론 차량통신(V2X) 기술과 영상인식 센서를 활용해 장애물을 알아서 피하고, 신호등'도로'CCTV 등 차량 주변 사물과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았다. 주변 차량과도 통신이 가능해 앞 차량이 급정거하면 자동으로 모니터에 경고 메시지를 내보냈다. 4K 고화질 멀티뷰 및 360도 가상현실(VR) 영상은 물론 드론이 상공에서 찍은 고화질 영상도 재생했다.
'T5'의 자율주행 기술은 한 단계 진화했다. 기존 차량이 센서에 의존한다면 'T5'는 노면 상태와 날씨, 사고 상황까지 종합적으로 취합해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게 해준다.
SK텔레콤과 BMW는 이날 시연에 맞춰 5G 커넥티드 카 개발을 위한 협약(MOU)을 체결하고,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 SK텔레콤은 5G 커넥티드 카 개발을 기점으로 5G 상용화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에릭슨'노키아'삼성전자 등 글로벌 제조업체와 함께 5G 시험망을 내년 초부터 수도권 주요 지역에 구축'운용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