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무원장 선출 방식 내년 3월 논의" 조계종 중앙종회 연기 결정

입력 2016-11-12 04:55:02

내년 10월 총무원장 선거…현행 간선제로 치러질 듯

조계종 중앙종회는 8일 정기회가 열고 총무원장 선출제와 관련된 개정안 처리를 내년 3월로 연기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공
조계종 중앙종회는 8일 정기회가 열고 총무원장 선출제와 관련된 개정안 처리를 내년 3월로 연기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공

조계종 총무원장 선출제와 관련된 종헌 개정안 처리가 내년 3월로 미뤄졌다. 이에 따라 내년 10월로 예정된 총무원장 선거는 현행 간선제 방식 그대로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조계종 중앙종회는 8일 정기회를 열고 총무원장 직선선출제 특별위원회가 제시한 '직선제 안'과 총무원장선출제도혁신 특별위원회가 상정한 '염화미소법 안' 모두 내년 3월 종회로 이월시켰다. 조계종 관계자는 "내년 3월로 예정된 다음 종회에서 종헌 개정안이 통과된다고 해도 구체적인 선거인단 및 선거절차 수립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면 내년 10월 총무원장 선거 때 적용하기는 힘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직선제는 일정 법계 이상의 스님이 선거권을 갖고 권리를 행사하는 것이며, 염화미소법은 선거인단이 3명의 후보자를 선출하면 종정이 이 중 한 명을 추첨으로 뽑는 방식이다.

이에 앞서 총무원장 직선선출제 특별위원회는 지난달 조계종 스님 10명 중 8명은 총무원장 선출 방식으로 직선제를 선호한다는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7~20일 전국 조계종 스님 1천 명을 대상으로 전화면접조사를 한 결과, 응답자의 80.5%(805명)가 총무원장 직선제에 찬성 의사를 밝혔다.

직선제특위 위원장 태관 스님은 "이번 종회에서 종헌이 개정되지 않으면 현실적으로 직선제 도입이 어렵다고 본다"며 위원장직을 사퇴했으며, 염화미소법에 대해 논의해온 총무원장선출혁신특위 위원장 초격 스님 역시 위원장직에서 사퇴했다.

현재 조계종은 총무원장을 선출할 때 24개 교구본사에서 선출된 240명의 선거인단과 중앙종회 의원 81명 등 321명의 선거인단이 투표로 선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