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현 대표의 버티기, 언제까지 갈까?'
비박계인 강석호 최고위원이 7일 단독 사퇴 카드를 던지면서 새누리당 지도부에 균열이 가고 있다. 하지만 이정현 대표는 대권 주자들과 비박계의 강력한 사퇴 요구에도 "사태 수습이 먼저"라며 기약없는 버티기에 들어갔다.
7일 오전 새누리당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는 정국 주도권을 빼앗긴 새누리당의 현주소를 그대로 보여줬다. 지난 4일 의원총회에서 연말 사퇴 의사를 밝힌 정진석 원내대표가 불참했고, 사퇴 표명을 미리 했던 강 최고위원은 "내 자리는 빼버렸어?"라며 뼈있는 질문을 던졌다.
자신의 사퇴 마지노선으로 7일 오전을 언급했던 강 최고위원은 이날 발언을 실행에 옮겼다. 그는 "사퇴서를 주머니에 넣고 다녔다"고 설명한 뒤 "분명 제가 사퇴하면 지도부에서 비박인 한 사람인 강석호가 당을 흔들려고 한다고 할까 봐 지난 의총 때 말했다. 그런데 (지도부는) 오늘까지 아무런 언급이 없어 죄송스럽게 오늘 부로 최고위원직을 사퇴하고자 한다"고 발표했다. 발언을 끝낸 뒤 강 최고위원은 옆에 있던 조원진 최고위원, 이 대표와 차례로 인사한 뒤 회의장을 먼저 떠났다.
하지만 이 대표는 고집을 꺾지 않았다. 그는 굳은 표정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는 대통령을 도울 수 있도록 조금만 위기관리의 시간적 여유를 허락해 달라"며 선(先)수습, 후(後)사퇴 입장을 고수했다. "새 내각이 구성되고 이 국면이 수습되면 지도부 진퇴를 결정하자"(조원진 최고위원) "표류하고 있는 이 배에서 최선을 다하겠다"(이장우 최고위원) 등 다른 친박계 최고위원들도 이 대표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정치권 인사들은 이 대표가 '무기한 버티기'에 들어갔다고 보고 있다. 이날 사퇴 시점을 묻는 취재진의 질문에 김성원 대변인을 통해 "긴밀히 당 의원들과 청와대와 협조해서 해결해 나가겠다"는 애매모호한 답변만 늘어놨다. 또 김무성 전 대표가 주장한 '대통령 탈당'에도 이 대표는 "대통령이 판단할 문제이긴 한데 저는 반대한다"고 답해 시국의 심각성을 간과하고 대통령을 맹목적으로 감싸고 있다는 당내 비판에 휩싸였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