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빅3' 유지…2020년까지 공공선박 등 11조 발주

입력 2016-11-01 04:55:02

조선·해운 활성화안 확정

10개월가량 끌어온 조선산업 구조조정이 대우조선해양의 생존을 포함한 '빅3 체제' 유지로 결론났다. 대신 조선업 수주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선박 조기 발주, 선박펀드 활용 등을 통해 2020년까지 11조원 규모의 발주가 추진된다.

정부는 31일 서울청사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의 조선'해운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조선밀집지역 경제활성화 방안을 확정했다.

이에 따르면 조선업 침체로 위기에 빠진 경남과 울산, 전남, 부산, 전북 등 5개 권역에 2020년까지 3조7천억원 규모의 투'융자가 이뤄진다. 한진해운의 기업회생절차 신청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해운산업에도 6조5천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이 실시된다.

관심을 모았던 대우조선해양은 상선 등 경쟁력 있는 부문을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매각을 통해 책임경영을 유도하기로 했다. 해양플랜트사업 축소, 14개 자회사와 조선소 사업장 외 모든 부동산 매각 등이 추진된다.

정부는 조선업 시황이 2018년부터 조금씩 회복되겠지만 2020년에도 2011∼2015년 평균에는 못 미칠 것으로 보고 공공선박 조기 발주, 선박펀드 활용 등을 통해 250척 이상, 11조원 규모의 발주를 추진할 계획이다. 또 정부는 조선 3사의 도크 수를 현재 31개에서 2018년까지 24개로 줄이고, 직영 인력 규모도 6만2천 명에서 4만2천 명으로 감축하기로 하는 등 조선업체들의 고강도 자구노력 이행을 점검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빅3'에서 '빅2'로 체제 개편을 기대했던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 등 조선업계는 정부의 이번 발표를 두고 "근본적 해결방안이 아니다"고 비판하는 분위기다.

업계에선 "대우조선의 독자생존이 어렵다는 내용을 담았던 맥킨지의 컨설팅보고서는 '참고자료'에 그치게 됐다. 두 달이나 연기된 끝에 나온 대책의 내용이 여태까지 조선 3사가 추진해오던 자구안을 요약 정리한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