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국 초·중·고등학교에서 4만7천여명이 학교를 그만 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과반인 2만5천여명은 부적응 등의 사유로 학교를 그만뒀다.
교육부는 2015학년도 학업중단 현황 조사 결과 전체 재학생 중 0.77%인 4만7천70명이 학업을 중단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학업중단율은 2014학년도 0.83%에서 2015학년도에는 0.77%로 0.06%포인트 감소했다. 학업중단율은 2011년 1.06%를 기록한 이후 계속 감소추세다.
학업중단생 중 질병, 해외출국을 제외한 부적응 등의 사유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은 2만4천959명으로 전체 재학생의 0.41%, 학업중단생 중에는 53%였다.
부적응 등의 사유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 비율은 지난해보다 0.04%포인트 감소했다.
학교급별로는 고등학교가 1만7천850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중학교 4천376명, 초등학교 2천733명이었다.
부적응 등으로 학교를 그만둔 학생 중 고등학생은 4천47명(22.6%), 중학생은 904명(20.6%)이 학업부진이나 학업기피 등 학업 관련 사유로 학교를 그만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의무교육이 아닌 고등학생의 경우 학교폭력으로 인한 퇴학자가 98명, 학칙위반 퇴학자가 692명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의 경우 대안교육 등 정규 교육 이외의 진로선택을 이유로 학업을 중단한 학생이 1천520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번 조사와는 별도로 교육부가 각 교육청의 자료를 취합한 결과 다문화가정 학생과 탈북학생의 학업중단율은 각각 0.85%, 2.1%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학업중단 숙려제 내실화와 학업중단 예방 집중지원학교 강화, 민간위탁형 공립대안학교 설립 운영·추진 등을 통해 위기 학생의 충동적인 학업 중단을 예방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