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까지 국회 개선특위 구성해 달라"

입력 2016-09-24 04:55:02

닻 올린 국회 개헌추진 의원모임…국회의장·원내대표에 요청, 각 당별 공동대표 체제 운영

새누리당 김무성(가운데) 전 대표와 남경필 경기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김부겸(오른쪽) 의원이 2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김무성(가운데) 전 대표와 남경필 경기도지사, 더불어민주당 김부겸(오른쪽) 의원이 2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나라 살리는 헌법 개정 국민주권회의' 창립대회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헌법 개정 논의에 탄력이 붙고 있다. 국회 안팎에서 개헌을 촉구하는 목소리를 조직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 국회의원 185명이 참여한 '제20대 국회 개헌추진 의원모임'은 23일 오전 국회 귀빈식당에서 첫 조찬모임을 갖고 개헌 작업을 구체화할 국회 개헌특별위원회 구성에 합의했다.

개헌추진 의원모임은 오는 10월 말까지 국회에 개헌특위를 구성해 달라고 정세균 국회의장과 여야 원내대표들에게 요청했다.

의원모임은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각 당별로 대표를 선출해 공동대표 체제로 운영하기로 했으며 가입 신청서를 낸 의원 가운데 5선 이상 의원들을 고문으로 선임하고, 10여 명의 고문단과 함께 30여 명 규모의 운영위원회도 꾸리기로 했다. 특히 의원모임은 조속한 시일 내 회원 규모를 개헌 가능 수준인 200명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여야 원외 유력인사 150여 명으로 구성된 '나라 살리는 헌법개정 국민주권회의'(국민주권회의)도 이날 오후 국회에서 창립대회 겸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모임에는 김원기'임채정'정의화 전 국회의장과 유인태'조해진 전 국회의원, 이상수 전 노동부 장관, 김두우 전 청와대 홍보수석, 박형준 전 국회 사무총장, 이석연 전 법제처장, 인명진 전 한나라당 윤리위원장 등 정파를 초월한 인사들이 대거 참여하고 있다.

박형준 전 국회 사무총장은 이날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국민주권회의의 목표 중 하나는 국회 안에서 개헌 논의가 본격화되는 데에 압력을 가하고, 다른 하나는 개헌에 대한 여론 형성을 본격화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의 개헌 논의가 여느 때보다 크게 주목을 받는 이유는 내년 대선을 앞두고 개헌에 대한 생각이 같은 인사들끼리 정치결사체를 구성해 대선에 나설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에 복당하지 않고 '새한국의 비전'을 창립한 정의화 전 국회의장은 최근 손학규 더불어민주당 전 상임고문을 접촉하는 등 보폭을 넓히며 정치 세력화를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청와대와 여야의 유력 대선 주자들이 동의하지 않으면 개헌 논의는 물거품이 된다. 또 현재 개헌에 찬성하는 의원들 역시 권력구조에 대한 생각이 내각제부터 이원집정부제, 4년 중임제까지 제각각이어서 힘이 제대로 모아질지도 미지수다.

박근혜 대통령은 안보와 경제 위기 상황에서 정치권의 개헌론은 우리 사회의 모든 이슈를 빨아들이는 '블랙홀'로 작용할 수 있다며 부정적인 의견을 나타내고 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