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12·19일 5천여 건 접수…실제 피해 신고는 13건 불과
"지진 맞나요? 어떻게 해야 합니까?"
지진 관련 문의 전화 때문에 소방 당국이 골머리를 앓고 있다. 지난 7월 울산 지진 이후 규모 4~5 지진이 연이어 발생하면서 119 신고 전화가 폭주하고 있지만, 지진 여부와 대피 요령을 묻는 단순 문의가 많아 긴급 상황 대처에 방해가 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대구소방안전본부에 따르면 19일 오후 8시 33분쯤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4.5 지진 이후 약 1시간 동안 신고 전화는 1천423건 접수됐다. 이보다 규모가 컸던 지난 12일에는 신고 전화가 3천995건에 달했다.
하지만 소방 근무자가 신고 접수 전화를 받으면 구조'구급이나 화재 진압이 필요하지 않은 단순 문의가 대부분인 상황이다.
소방 관계자는 "진동 후 짧은 시간에 동시 다발적으로 전화가 걸려 오지만 대부분 '진동을 느꼈는데 지진이 맞느냐' '고층 아파트에 있는데 어떻게 해야 하느냐'와 같은 단순 문의 전화였다"면서 "'뉴스 속보를 봐달라' '진동이 멈추면 계단을 이용해 넓은 공터로 대피해달라'는 등 안내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12일과 19일 대구 지역에서는 5천 건이 넘는 신고 전화가 접수됐지만, 실제 건물이나 인명에 피해가 있었던 경우는 각각 11건, 2건에 그쳤다.
더욱이 폭증하는 신고 전화를 모두 소화하기도 어려워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신고자가 통화 연결이 지체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대구 119 종합상황실은 신고 및 비상용 전화 16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모두 통화 중일 경우 자동 응답 메시지를 들으며 통화 연결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 소방 관계자는 "지진 후 화재가 발생했거나, 승강기에 갇히는 사고가 생길 수도 있는데 단순 문의 전화가 많아 위급 상황 대처가 늦어질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이에 지진 발생 시 단순 문의를 위한 119 신고는 자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하성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119는 상담을 위한 곳이 아니라 대응 기관이다. 이미 큰 지진을 몇 차례 겪은 만큼 주민들은 대피 요령을 사전에 익혀둘 필요가 있다"면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긴급재난문자를 지역별로 구분해 보내고, 문자에는 대피 장소와 상담 전화번호 등을 담아 119로 몰리는 통화량을 분산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이준석 이어 전광훈까지…쪼개지는 보수 "일대일 구도 만들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