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내진 '6.5' 수두룩…7.0 넘는 지진땐 어쩌나

입력 2016-09-19 04:55:02

밀집지 동해안 "내진 강화 나서라"

18일 지진 진앙인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한 농가에서 주인 김한자 씨가 지진으로 균열이 생긴 벽 틈새로 스며든 빗물을 닦아내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18일 지진 진앙인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 한 농가에서 주인 김한자 씨가 지진으로 균열이 생긴 벽 틈새로 스며든 빗물을 닦아내고 있다. 우태욱 기자 woo@msnet.co.kr

경주에서 관측 사상 최대 규모 지진이 발생하면서 원자력발전 내진설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국내 원전이 경주, 울진 등 상대적으로 지진 빈도가 높은 동해안 지역에 밀집해 있다는 점에서 대형 참사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내진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는 것이다.

경상북도에 따르면 국내 운영 원전 24기 가운데 18기가 동해안 지역에, 그중 12기가 경북에 밀집해 있다. 또 우리 정부는 국내 원전에 내진설계를 적용했지만 고강도 지진 발생에는 무용지물이다.

기존 원전 내진설계 기준은 규모 6.5, 신울진1'2호기'신고리 3'4호기 등 최근 짓는 원전은 규모 7.0 수준이다. 지진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규모 7.0이 넘는 지진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월성1호기 등 가동 기간이 30년 넘은 노후 원전은 지진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는 만큼 내진설계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지진 등 자연재해가 원전에 미칠 수 있는 악영향으로 국내 원전이 한 지역에 밀집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KINS에 따르면 원전은 부지 선정의 어려움과 경제성'효율성 등을 따져 통상적으로 한 부지에 2기 이상을 짓는다. 한 부지에 6기 이상을 짓는 경우는 전 세계에 11곳밖에 없고, 그중 4곳이 한국에 있다. 경주'울진'부산 기장군'전남 영광에 각각 6기가 운영 중이다.

KINS는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서 "원전 호기마다 이뤄지는 안전성 평가는 부지 내 다른 원전이 안전하다는 전제 아래에서 이뤄진다. 원전이 밀집해 있는 곳에서 원자로 손상 같은 중대사고가 한 건 발생하면 주변 다른 원전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는 고려돼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경주, 울진 등 원전이 밀집한 지역에서 재해가 발생할 경우 위험성을 충분히 대비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일본 후쿠시마 사고에서도 보듯 당시 쓰나미로 처음 폭발한 것은 1호기 한 기였지만 전력공급이 중단되면서 2'3'4호기에 잇따라 수소폭발이 일어나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김무환 KINS 원장은 "우리나라에는 큰 지진이 없었기 때문에 현재의 원전 내진설계가 아무리 안전하다고 해도 시민들이 불안하게 느낄 수밖에 없다. 최근 잇따른 지진 발생에 따라 원전 운영 지역의 불안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인 안전운영 방침과 지진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