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음·작전운용' 해결…대구서 50㎞ 안 새 공항 후보지는

입력 2016-09-17 11:21:43

대구시청에서 50㎞ 이내인 경북 9개 시·군 가운데 군 작전운용이 쉽고 소음 피해면적이 가장 적은 곳은 어딜까.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위한 예비후보지 용역조사가 본격화하면서 새 공항 후보지에 관심이 쏠린다.

 후보지는 대구 공항을 옮기는 만큼 대구시민 접근성을 고려해야 하고 군 공항 통합이전에 따라 군 작전 운용성을 우선해야 한다.

 또 대구공항이 도심에 있으므로 소음피해가 심각한 만큼 이 부분도 고려 대상이다.

 군과 민간이 함께 사용하는 대구공항을 통합이전함에 따라 새 공항 후보지는 이같은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대구시는 그동안 새 공항 접근성을 강조했다.

 또 공항 활성화를 위해 후보지 대상으로 대구 경계에서 차로 30∼40분 이내를 얘기한다.

 최근에는 대구시청서 반경 50㎞ 안에 새 공항이 들어서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대구시는 대구공항 예비이전 후보지 조사 연구용역에서 시 경계에서 차로 30∼40분 거리라는 범위가 모호하고 불분명해 이 같은 구체적인 조건을 내놓았다.

 대구시 관계자는 "용역조사기관이 경북 전역을 대상으로 조사할 수는 없다"며 "대구시 경계에서 30∼40분 범위가 불분명해 구체적으로 50㎞ 거리를 제시했다"고 말했다.

 경북도에 따르면 대구시청에서 반경 50㎞ 안에는 칠곡,구미,성주,청도,경산,영천,군위,의성,김천 9개 시·군이 들어간다.

 이 시·군들 가운데 군위와 의성은 일찌감치 공항 유치를 희망하고 나섰고 영천은 후보지로 거론하나 지역 내 반대 여론이 만만찮다.

 나머지 시·군은 후보군에서 일단 밀려나 있는 듯하지만 용역 결과가 어떻게 나올지는 미지수다.

 새 공항 후보지 요건을 충족하고 공항 건설에 필요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느냐가 관건이다.

 새 공항 건설에는 15.3㎢(460만 평)의 땅이 필요하다.

 시설면적 11.7㎢(353만 평)와 소음 완충 지역 3.6㎢(110만 평)다.

 경북도는 공항 후보지로 군 공항이 함께 오기 때문에 반감이 가장 크고 민감한 사안인 소음피해 면적이 가장 적은 지역과 민항기 수요를 맞출 수 있는 곳,포항·구미·김천 등 항공 물류도 접근이 쉬운 곳을 선호한다.

 경북도 관계자는 "대구시가 50㎞ 이내 지역을 이야기한 것은 대구에서 접근이 쉬워야 한다는 점을 구체화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 "후보지 조사연구용역은 도가 요구하는 사안과 국방부 군사 작전상 적지 및 소음 민원 발생이 적은 곳,대구시 접근성 요구 등을 반영해 최적지를 복수로 선정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새 공항 예비이전 후보지 조사 연구용역 결과는 올해 12월께 나올 예정이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