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잦아진 한반도 강진, 안전 대비 위한 새 틀 짤 때다

입력 2016-09-14 04:55:06

12일 오후 7시 44분 경주 남남서쪽 9㎞ 지역에서 규모 5.1의 지진과 오후 8시 33분 규모 5.8의 강진이 잇따라 발생해 한반도를 뒤흔들었다. 규모 5.8의 지진은 1978년 계기 지진 관측 이후 국내 최대다. 여진도 179회나 일어났다. 이번 두 차례 연쇄 강진은 지난 7월 5일 울산 동구 동쪽 해역에서 일어난 규모 5.0의 지진 이후 불과 2개월여만이다.

이날 강진으로 대구경북에서는 23명이 다치고 건물 파손 등 인적 물적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규모 5.8의 강진은 최근의 5차 북한 핵실험 강도보다 50배쯤 강한 것으로 추정되는 점에 비해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이런 피해와 달리 이번 강진으로 드러난 문제점은 숱하다. 그만큼 국민들에게 끼친 충격파는 크며 넓고도 깊다. 현재 재난 방재 시스템에 대한 비판과 전면적인 대책 마련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짐은 마땅하다. 국민의 자구책 고민도 절실함을 증명했다.

먼저 지진에 대한 깜깜이 소식이다. 강진으로 불안에 떠는 동안 국민안전처는 재난 문자메시지를 보냈으나 발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지연 사태가 벌어졌다. 재난 방송 주관 방송사인 KBS1 TV는 정규 방송을 그대로 편성했다. 그나마 자막뉴스와 뉴스특보를 보냈지만 지진 궁금증과 불안감 해소에는 충분하지 못했고 모자랐다. MBC와 SBS도 신속한 지진 뉴스 전달이 안 됐고 정보도 턱없이 부족했다. 지난 7월 강진 때와 마찬가지로 국민 불만이 쏟아진 이유다.

여기에 겹친 통신 두절은 불안감을 가중시켰다. 이날 지진 정보 부족에 국민들의 통신 접속은 폭주했다. 휴대폰 불통이 이어졌고 카카오톡의 장애와 먹통, 인터넷 접속 불량이 되풀이됐다. 국민 혼란은 커졌고 이는 대피 소동을 낳았다. 마땅한 대피 훈련이나 대처 요령을 익히지 못한 탓에 국민들은 우왕좌왕했다. 게다가 겨우 집과 건물 밖으로 나와도 마땅히 대피할 시설에 대한 정보도 없어 헤매기는 마찬가지였다. 대피 시설의 부족 또한 드러났다.

이 밖에 전국의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시설물의 보강 필요성 등 여러 문제도 제기됐다. 경주 연쇄 강진으로 지진 무방비 모습이 고스란히 노출된 셈이다. 이제 새로운 틀의 지진 대비책 마련이 절실해졌다. 대구경북은 더욱 그렇다. 역대 규모 5.1 이상 지진 6회 가운데 3회가 경주와 울진에서 일어났고 특히 경북에는 국내 원전 시설의 절반이 몰려 있다. 더 이상 안전지대 아닌 한반도의 강진 대비는 이제부터다. 정부, 지자체는 물론 국민 스스로도 그렇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