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량이 급증하는 추석 전날 귀성길에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추석 다음 날 귀경길 보다 50% 이상 많은 것으로 나타나 귀성길의 안전운행이 더욱 요구된다.
지난 8일 국민안전처가 공개한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 통계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추석연휴기간에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는 총942건으로 확인됐다. 이 사고로 19명이 사망하고 3,170명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추석연휴 동안 하루 평균 47.1건의 교통사고가 발생해 평상시 사고(31.05건)보다 51%가 증가했다. 사망자는 하루 평균 0.95명으로 평소(0.8명)에 비해 18%, 부상자는 158.5명으로 평소(74.21명)보다 114% 증가했다.
사고발생 주요 원인은 안전운전 불이행이 23%(221건)로 가장 많았고, 안전거리 미확보가 11%(105건)로 뒤를 이었다.
귀성길에 더 많은 교통사고와 사망자가 발생한 데에는 귀경길에 비해 평균 2시간 43분이나 더 걸리는 차량 운행 시간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많은 전문가들은 명절 연휴 차량 정체와 맞물린 장거리 운전과 조급한 마음을 전방 주의력을 분산시키고 난폭운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만큼 가족과 함께 있음을 인식해야 한다고 전했다.
졸음운전과 안전불이행 사고의 경우 대형사고 뿐 만 아닌 경미한 사고로도 이어질 수 있어서 교통사고 및 교통사고로 인한 후유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방어운전과 안전운전이 준수되어야 한다.
교통사고 후유증은 하루나 이틀의 잠복기를 거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후유증 예방을 위해서는 사고 즉시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하다.
하니카네트워크 관악봉천점 대추나무한의원 김영현 원장은 "교통사고 후에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가 두통"이라며 그러나 "두통 외에 교통사고 한의원에서는 진탕후 증후군이나 어혈로 인한 허리와 어깨 및 관절의 통증, 턱관절장애 등의 여러 증상에 대해 침이나 뜸, 한약으로 교통사고 후유증을 치료한다."고 전했다.
명절과 같이 장시간 운전을 해야 할 때에는 최소 2시간에 한 번씩 휴게소나 졸음쉼터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가벼운 스트레칭이 안전운행에 도움이 된다. 또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활용해 최대한 밀리지 않는 시간에 출발하고 운전 중에는 환기를 자주 하며, 껌이나 음료, 견과류 등 가벼운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도 졸음 예방에 효과가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