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탄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정보위·국방위·외통위 잇따라 개최

입력 2016-09-10 04:55:02

국회 해결책 마련 긴박한 움직임…여야 3당 원내대표도 긴급 회동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핵실험 상황 평가 및 대책 보고를 마친 뒤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이 9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북한의 핵실험 상황 평가 및 대책 보고를 마친 뒤 의원들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의 제5차 핵실험에 대해 정치권이 한목소리로 규탄하며 9일 국회 차원의 대북규탄결의안을 채택했다. 정치권은 또 정보위원회와 국방위원회, 외교통일위원회를 잇달아 여는 등 해결책을 마련하기 위해 분주하게 움직였다.

이날 국방위원회는 북한의 핵실험을 규탄하고 정부와 국제사회의 공조를 통한 강력한 대응 방안 마련을 촉구하는 내용의 규탄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했다. 국방위는 결의안에서 "북한 정권의 핵무기 개발과 일련의 미사일 발사 등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을 유발하는 일체의 군사적 도발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북한이 이와 관련한 일체의 행위를 중단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외통위도 핵실험 규탄과 폐기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했고, 오는 20일 본회의에서 결의안을 채택하기로 했다. 외통위는 결의안에서 "대한민국 국회는 북한이 핵실험을 전면 금지한 유엔(UN)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하면서 5차 핵실험을 강행한 것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번 핵실험에 대해서는 "대한민국 국민의 생명과 안전 및 세계평화를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행위"라고 규정했고, 근본적인 해결을 위해 핵무기, 핵물질 및 핵시설을 포함한 모든 핵프로그램을 폐기할 것을 북한에 촉구했다.

이에 앞서 여야 3당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긴급 회동을 열고 이 같은 내용의 결의안에 합의하는 등 북한 핵실험 소식이 전해진 직후 국회는 긴박하게 움직였다.

정보위원회는 긴급회의를 소집해 국가정보원을 통해 핵실험 징후와 관련된 북한의 동향 보고를 받았다. 회의에 참석한 이병호 국정원장은 북한의 핵실험 배경과 소형 핵탄두 개발 가능성, 핵실험 상황 등에 대해 보고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