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란법 시행으로 수요 위축, 1등급 kg당 1만8천원 이하로
좀처럼 그칠 줄 모르던 한우 가격 상승세가 추석 때 정점을 찍고 나서 한풀 꺾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31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가 발간한 '한'육우 관측월보'에 따르면 추석이 있는 9월 중순까지 한우 1등급의 평균 도매가격은 ㎏당 최대 2만원대까지 치솟을 것으로 전망됐다. 추석 대목인 데다 몇년째 한우 사육 마릿수가 계속 줄면서 공급 물량이 계속 줄고 있어서다.
지난해 같은 시기에는 ㎏당 1만8천745원이었다.
정부는 2012년 한우 가격이 떨어지자 암소 감축을 실시했다. 2014년에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에 따른 한우 가격 급락을 막는 차원에서 축산 농가의 폐업을 지원했다.
하지만 사육 마릿수를 줄인 여파가 지난해 말부터 가시화됐다. 송아지 생산에서 한우 고기로 출하하기까지 2년반 정도 걸리고 당장 사육두수를 늘리는 것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추석 이후에는 상황이 달라질 전망이다. 농업관측센터는 9월 중순을 기점으로 한우 1등급 도매가격이 내려가 ㎏당 1만8천원 이하에서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추석 특수가 끝나고 9월 말부터 시행되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금지법)의 영향으로 한우 수요가 줄 것으로 예상된다는 것. 올해만 해도 3~7월 쇠고기의 ㎏당 평균 도매가격이 1만8천~1만9천원대였던 점을 고려하면 한우 가격 상승세가 반년 만에 꺾이는 셈이다.
농업관측센터는 보고서에서 "추석 이후 한우 도매가격은 수요 위축 정도가 관건"이라며 "공급 감소에도 불구하고 김영란법 시행으로 수요가 위축되고, 올해 '한우의 날'(11월1일) 소비 촉진행사도 축소될 가능성이 있어 수요 불확실성이 확대됐다"고 분석했다.
이에 반해 수요뿐 아니라 한우 사육 마릿수 감소 등으로 공급 물량이 계속 줄 것으로 보여 한우값이 큰 폭으로 내리진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