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만 빼고…다시 늘어난 담배 지출

입력 2016-08-26 04:55:02

담뱃값 인상 약발 떨어졌다 지적도

지난해 초 담뱃세 인상으로 감소세를 보였던 담배 지출이 올 들어 다시 회복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담뱃값이 부담스러운 저소득층에서만 담배 지출이 줄어들었다.

25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전국 2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담배 지출은 2만3천원으로 1년 전에 비해 10.9% 늘었다. 지난해 초 담뱃세 인상으로 소비량이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문제는 담뱃값 씀씀이에서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이 달랐다는 것.

소득 하위 20%인 1분위는 담배 지출이 6.6% 감소한 1만6천원이었고, 2분위(소득 하위 20~40%)도 2만2천원으로 1.2% 정도만 늘었다. 하지만 소득 3분위에선 2만8천원(19.8% 증가), 4분위에선 2만3천원(11.7%), 5분위에선 2만6천원(25.3%)이나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가격 상승효과를 제거한 실질 기준으로만 따져도 추세는 비슷하다.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실질 담배 소비 지출은 1만3천원으로 1년 전보다 10.9% 증가했다.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인 구간에선 지출이 8천원으로 3.5% 줄었고, 100만∼200만원 미만 구간도 9천원으로 5.3%, 200만∼300만원 구간 역시 1만2천원으로 0.9% 줄었다. 그러나 소득 600만원 이상의 경우 담배 지출이 1만4천원으로 오히려 27.4% 늘어났고, 300만∼400만원 구간도 22.7% 늘어난 1만5천원이었다. 소득 400만∼500만원도 1만2천원으로 14.8%, 500만∼600만원 미만도 1만3천원으로 10.3% 증가했다.

이처럼 담배 지출이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줄어든 것은 저소득층 중 고령층이 많아 건강상 이유로 담배를 끊었거나 덜 피웠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가격 인상도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해 1월 1일부터 담뱃값을 2천원 올리자 담배 지출이 부담스러워진 저소득층이 금연을 택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5월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만 19세 이상 성인 남성의 흡연율은 39.3%로 나타났다. 흡연율 집계가 시작된 1998년 이후 처음으로 40% 이하로 떨어진 것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담뱃세 인상 효과가 점차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조사기관 닐슨에 따르면 올 상반기 국내 담배 판매량은 353억969만1천400개비로 1년 전보다 약 14% 증가했다.

정부는 가격 정책만으로는 흡연율을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 올해 12월부터 담뱃갑에 흡연경고 그림 부착을 의무화하는 등 비(非)가격 정책도 강화하겠다는 방침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