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령 잡는 여자들 돌아왔네
1984년에 개봉하여 전 세계를 사로잡았던 SF 코미디 '고스트버스터즈'는 한국에서도 신드롬이 일 정도로 크게 성공했다. 유령이 전혀 무섭지 않고 귀엽기만 한 영화는 32년 전 일이라 까마득하게 느껴지지만, 이 영화를 보지 않았던 사람도 '고스트버스터즈' 하면 떠오르는 몇 가지가 있다. 유령 잡는 4인조 남성 멤버들이 신나게 "고스트 버스터즈"라고 외치며 시작하는 주제곡과 귀여운 유령금지 표시, 그리고 먹깨비 유령과 마시멜로맨이 그것이다. 오리지널 영화 제작자이자 원작의 감독인 이반 라이트만이 2016년 '고스트버스터즈'의 제작을 맡았으며, 오리지널 영화의 상징들을 가져와서 새롭게 리뷰트한다. 영화는 오리지널의 속편이 아니라 등장인물과 제작진을 완전히 바꾼 새로운 영화다.
'스파이'(2015)로 여성을 액션 주인공으로 한 코미디 액션 첩보물로 성공한 폴 페이그 감독이 새 버전의 연출을 맡았고, 그와 앙상블을 이루며 코미디언 배우로 우뚝 선 배우 멜리사 맥카시가 주연을 맡았다. 새로운 '고스트버스터즈'가 84년 오리지널과 달라진 점은 남성 4인조에서 여성 4인조로 멤버 구성을 바꾸었다는 점이다.
물리학 박사 에린(크리스틴 위그)은 과거 초자연적 존재에 대해 쓴 자신의 책 때문에 교수직을 잃을 위기에 처한다. 그는 과거 자신과 함께 유령을 연구했던 친구 애비(멜리사 맥카시)를 찾고, 엔지니어 홀츠먼(케이트 맥키넌)과 함께 유령 퇴치 전문 사무소를 꾸린다. 이들은 비서 케빈(크리스 헴스워스)을 채용하고 뉴욕 지하철역에서 일하던 패티(레슬리 존스)를 동료로 영입하면서 본격적으로 활동한다. 그들은 유령들을 추적하는 와중에 도시를 위협하는 배후 세력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최근 할리우드에는 일명 '젠더 스와프'(성별 교환) 바람이 일고 있는데, 이는 전형적으로 묘사되는 성 역할을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어, 1984년에 히트한 인어공주 이야기의 현대판 변형인 '스플래쉬'의 리메이크는 배역의 성별을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원작은 성공한 사업가 알렌(톰 행크스)과 인어 매디슨(대릴 한나)의 사랑 이야기지만, 리메이크 버전에서는 채닝 테이텀이 인어로 분하고, 질리언 벨이 사람인 여자 주인공 역할을 맡는다. '엑스맨'의 경우, 브라이언 싱어 감독은 휴 잭맨이 연기해온 울버린을 여성 울버린으로 교체하겠다고 밝혔다. 터프하고 영리한 남자 주인공과 섹시하고 순진한 여자 주인공으로 스테레오타입화되어 있는 커플링을 바꾸는 방식은 새로운 재미를 줄 뿐만 아니라 성 역할에 길들여진 고정관념을 반성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원작의 향수를 기대하는 관객과 원작을 보지 못한 새로운 세대를 동시에 겨냥하기 위해, 원작의 상징과 이야기 구조를 가져와서 여성 4인조 멤버를 구성한 전략은 성공할 듯이 보였다. 하지만 이 영화는 미국에서 작품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작품을 둘러싼 논쟁이 훨씬 더 큰 화제가 되었다. 지난 5월의 서울 강남역 살인사건과 7월 넥슨 성우 교체 사건을 거치며 '혐오'라는 키워드를 가지고 온라인상의 커다란 이슈가 된 페미니즘 논쟁의 미국판을 보는 것 같다. 특히 영화에서 쟁점이 된 부분은 4명의 유능한 여성 멤버들과 잘생겼지만 무식하고 귀여운 남자 비서 때문이었다.
고정된 성 역할을 뒤바꾸고, 흑인 캐릭터의 입으로 직접 내뱉는 흑인 비하 발언을 유머 코드로 쓰고 있다거나, 천재적 여성 물리학자가 잘생긴 남자에게 들이대다 머쓱해지는 장면의 연발, 많이 뚱뚱한 여자가 팀의 리더이거나, 심하게 괴짜인 여성 과학자의 존재 등 많은 코믹 상황들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인위적이거나 비하적으로 보인다는 반응이 있을 것인 반면, 과장과 자책이 뒤섞여 있지만 코미디라는 장르의 틀 안에서 전복적 힘을 발휘하는 에너지가 있다며 지지하는 반응 또한 존재할 것이다. 호불호가 많이 나뉠 것 같다.
한쪽 성의 비하가 성 평등은 아니라며 이 영화에 까칠한 반응을 보이는 해외 팬들이 많지만, 필자는 이 영화가 보여주는 코미디가 가진 특유의 패러디 정신과 과잉을 통한 전복성에 점수를 주고 싶다. 무엇보다 걸출한 센 언니 코미디언들의 활약이 통쾌하고 멋지며, '토르'의 히어로 크리스 햄스워드의 무식한 금발 미남 캐릭터 역할은 허를 찌르는 엄청난 웃음 코드가 된다. 오리지널에서 활약했던 배우들이 지금은 모두 노인이 되었지만, 여전히 적재적소에 카메오로 등장해 큰 웃음을 주는 점도 영화의 매력을 더하는 요인이 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