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급식의 납품 과정이 생산부터 유통, 소비에 이르기까지 총체적인 부실 덩어리였다. 업체들은 입찰 담합을 통해 급식사업권을 따내고, 학교 측은 식재료 납품 실적에 맞춰 업체로부터 상품권 등을 받아 챙겼다. 국무조정실 산하 정부합동부패척결추진단이 지난 4~7월 처음으로 전국적으로 학교급식의 모든 과정을 점검한 결과 위반 사실이 677건이나 됐다. 학교와 급식업체가 '짬짜미'하는 사이 급식 재료로 '불량 먹거리'가 대거 납품됐음은 물론이다. '학교급식에 먹을 것 없다'는 말이 빈말이 아니었다.
모두는 아니겠지만 상당수 급식 담당 영양 교사들이 특정 업체의 식재료를 지정하고 업체로부터 상품권 등 리베이트를 받아 챙겼다. 추진단은 동원'대상'CJ프레시웨이'풀무원 등 4개 학교급식 업체가 최근 2년여 동안 3천여 개 학교에 16억원에 이르는 상품권을 뿌린 의혹을 포착했다. 이들 업체에 주문자상표 부착 생산(OEM) 방식으로 납품하는 업체들은 부적합한 수질로 식재료를 세척하고 시험성적서도 조작하는 등 위생 상태가 엉망이었다.
수익을 늘리기 위한 입찰 담합도 서슴지 않았다. 입찰 담합은 특히 대구가 심했다. 전국 17개 광역시도에서 16건의 입찰 담합 사례가 적발됐는데 대구가 3건이나 됐다. 서울'인천'광주 각 1건에 불과한 것과 대비된다.
대구 한 초등학교는 급식 예산 잔액을 학부모에게 반납하지 않고 120만원 상당의 한우를 구입해 교직원에게 갈비찜을 제공했다. 경북의 한 업체는 학교 운영 급식비 669만원으로 교원 휴게실 공사를 했다가 적발됐다. 급식 예산의 상당액이 학교나 업체 몫으로 돌아갈수록 학교급식은 그만큼 부실해질 수밖에 없다.
부실 급식은 학교장과 영양 교사의 의지가 맞물려야 해소할 수 있다. 이들의 의지를 북돋우기 위해서는 관련 정보가 낱낱이 공개돼야 한다. 급식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높여 나가야 한다. 끼니별 급식 상황을 학교 홈페이지에 공개하고 급식 만족도도 정기적으로 조사해 알려야 한다. 부실 재료 제공업체는 두 번 다시 납품할 수 없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해 볼만하다.
댓글 많은 뉴스
한덕수 탄핵소추안 항의하는 與, 미소짓는 이재명…"역사적 한 장면"
불공정 자백 선관위, 부정선거 의혹 자폭? [석민의News픽]
무릎 꿇은 이재명, 유가족 만나 "할 수 있는 최선 다하겠다"
계엄 당일 "이재명, 우원식, 한동훈 복면 씌워 벙커로"
경찰, '계엄해제 방해 의혹' 추경호 소환조사…통신 내역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