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 닫았다…계속되는 불황에 '소비보다 저축'

입력 2016-08-20 04:55:01

1분기 실질소득 증가율 '-0.2%'…술·담배 지출 작년보다 7.1% 늘어

계속되는 경기 불황 여파로 올해 2분기 가계소득과 소비 모두 제자리걸음을 반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에 대한 불안으로 대다수 가계는 소비보다 저축을 택했고 계층 간 소득불평등은 더욱 심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19일 이 같은 내용의 '2016년 2분기 가계동향'을 발표했다. 올해 2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명목 기준)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0.8% 증가했다. 실질소득 증가율은 지난해 2분기 2.3%이던 것이 올해 1분기에는 각각 -0.2%를 기록하며 뒷걸음질쳤다.

가구소득 중에서는 재산소득이 9.8%나 감소한 영향이 컸다. 저금리 여파로 이자소득이 줄어들어서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소비 지출을 나타내는 평균소비성향은 70.9%로 0.7%포인트 하락했다. 100만원을 벌었을 때 70만9천원을 소비 지출에 쓴 셈이다. 이는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 1분기 이래 역대 최저치다.

가계는 소비 대신 저축을 택했다. 처분가능소득 중 소비하지 않고 쌓아두는 돈이 102만5천원으로 1년 전보다 3.6% 늘었다. 불황으로 인한 스트레스 때문일까. 주류'담배 지출은 3만5천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7.1% 늘었다. 특히 담배는 10.9%나 뛰었다.

고소득층 소득은 증가한 반면 저소득층 소득은 크게 줄면서 소득불평등이 더 악화됐다. 소득 1분위(하위 20%)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39만6천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0% 감소했지만 소득 5분위(상위 20%)는 821만3천원으로 1.7% 증가해 대조를 보였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