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 맞는지 잘 모르겠는데" 도내 3년간 47건 신고 접수

입력 2016-08-19 04:55:06

절반 이상 원인균 규명 못해

최근 3년간 경북 도내에서 발생한 2인 이상 집단 식중독 신고는 47건, 환자는 828명에 이르지만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식중독 원인균'바이러스 등을 찾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늑장 신고'검사가 이러한 '원인 미규명'으로 이어지고 있어 식중독 사고 대처 매뉴얼에 대한 대대적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8일 경북도에 따르면 2014년 경북에서 발생한 식중독 의심 신고 19건 중 11건에서 식중독 원인을 찾지 못했다. 지난해에도 12건의 신고가 보건 당국에 접수됐지만 7건이 '원인불명'으로 남았다. 올 들어 17일까지 발생한 16건의 식중독 신고에서도 10건이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

지난달 30일 일어난 포항 A여고 3학년 18명 식중독 증상도 보건 당국의 역학조사에서 원인을 규명하지 못했다. 경북보건환경연구원'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이 함께한 조사는 학생들이 식중독 증상을 보이기 전인 26일 조식부터 지난 1일 중식까지 97개 식재료와 칼'도마 등 10가지 주방용품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이 107개 항목의 검사에서 식중독균을 찾지 못한 채 지난 16일부터 정상 급식에 들어갔다.

이 학교의 경우 '때늦은 신고'가 원인 규명 불가로 이어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A여고 학생들이 식중독 증상을 보인 것은 지난달 30일 오후지만 해당 학교의 식중독 신고가 보건 당국에 접수된 것은 3일이 지나버린 2일이었다.

시간이 지체되면 검사는 보관식 즉 냉동 상태로 보관된 그날의 급식 재료를 가져다 진행해야 해 식중독균을 찾는 정확한 검사가 진행되기 어렵다. 더욱이 식재료로 검사할 수 있는 식중독균 역시 18종만 가능하다.

환자가 병원에서 항생제 치료 등을 받은 후라면 바이러스 6종'원충 4종 등 10종에 대한 대변검사는 불가능해진다. 식재료가 보관되지 않는 식당에 대한 식중독 검사는 불가능에 가깝다.

경북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즉시 검사를 해야 원인균을 찾아낼 수 있다"며 "바이러스'원충 등을 검사할 수 있도록 병원에 가기 전 대변을 채취해 놓는 것도 검사에 큰 도움을 주므로 이런 체계를 잡아나가야 예방을 통해 식중독을 줄여나갈 수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