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지부진 대구공항 이전 논의, 대구경북민 불신만 키운다

입력 2016-08-02 05:20:01

대구 K2 군사 비행장과 민간 대구공항의 통합이전 예정지 선정 작업의 연내 마무리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오고 있다. 지난달 11일 박근혜 대통령이 K2와 대구공항 통합이전을 발표한 이후 약속한 정부 부처 간 태스크포스(FT)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서다. 정부가 대통령의 약속 이행을 위한 후속작업으로 TF 구성만 마치고 매주 1회 열기로 한 회의가 지난달 14일 개최된 뒤 어제에야 2차 회의를 열었던 것이 그 증거다.

정부 부처의 제대로 된 후속작업은 고사하고 활동도 시늉에 그치는 바람에 대통령의 지시가 값싼 '립 서비스'에 그치는 듯하다. 대통령의 발표 이후 공항을 조속히 이전한다며 정부가 한 일은 국무조정실장을 중심으로 국방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대구시 등으로 TF를 구성해 고작 한 번 모인 것이 전부다. 이후 보름 동안이나 TF는 개점휴업 상태였다. 마침 어제 두 번째 모임을 가졌지만 부처 간 논의해야 할 숱한 과제와 절차에 대한 협의는 제대로 하지 못하고 시간을 허비한 것은 사실이다.

대통령 임기 중 이전 공사의 첫 삽이라도 뜨려면 연내 후보지 선정 작업의 마무리는 마땅하다. 통합이전은 군사공항과 민간공항을 함께 옮기는 일이다. 그만큼 넘어야 할 산과 해결 과제가 많다는 뜻이다. TF가 지금까지처럼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K2공항은 현행 군공항 이전특별법에 따라 후보지 선정 작업을 해야 한다. 공군이 후보지를 선택하더라도 해당 지자체의 의회 의결과 주민투표라는 절차도 거쳐야 한다. 만약 이런 절차를 통과하지 못하면 원점에서 선정 작업을 다시 시작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대구경북은 물론 국민과의 엄중한 약속인 대통령의 지시가 구두선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라도 정부는 지금부터라도 TF 활동에 속도를 내고 실질적인 결과물을 도출해야 한다.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TF 활동의 부진은 대통령과 정부에 대한 불신과 불만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적극적인 역할도 필요하다. 공항 이전은 미래 세대와 대구경북의 앞날이 걸린 일이다. TF팀이 더욱 기민하게 움직이도록 시'도가 앞장서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