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룰 수 없는 靑·내각 개편…與 중진 "광복절 전후 단행"

입력 2016-07-20 20:06:19

새누리당 서청원(왼쪽) 의원이 20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사드 관련 긴급현안 질문에 참석, 자신의 자리로 찾아온 유승민 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 서청원(왼쪽) 의원이 20일 오전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사드 관련 긴급현안 질문에 참석, 자신의 자리로 찾아온 유승민 의원과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근혜정부가 집권 이후 최대 위기에 직면했다.

현직 진경준 검사장 구속이라는 검찰 초유의 사태로 불붙은 법조비리 파문, 우병우 청와대 민정수석을 둘러싼 의혹, 친박(친박근혜)계 실세들의 공천 개입 의혹 녹취 공개 등 사태가 잇따라 터지면서 국정운영에 난맥상을 맞고 있다.

여기에다 영남권 신공항 무산에 이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입지선정 과정에서 불거진 갈등과 여기에 대한 정부의 미숙한 대응이 지역민들의 분노를 사면서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텃밭인 대구경북민들의 민심도 극도로 악화되고 있다. 그야말로 집권 후반기 레임덕이 가속화되는 양상이다.

하지만 일련의 사태에 대한 청와대와 정부의 안이한 대응과 인식이 사태를 더 악화시키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청와대는 참모들의 각종 의혹에 대해 '개인적인 발언' '청와대와 무관한 일' '본인이 해명할 것' 등 식으로 대응하면서 안보와 경제위기만 내세우며 오히려 "국정 흔들기를 하지 말라"고 국정 난맥상을 애써 외면하고 있는 모양새다.

이에 대해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등 야당은 최근 사태를 '총체적 난국'으로 규정하고, 박 대통령이 쇄신책을 내놓아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다.

김종인 더불어민주당 비상대책위 대표는 20일 "국가의 총체적 위기를 맞아 정치권이 이야기하는 충고를 외면하고 독선과 아집으로 국민을 다스릴 수 있다는 생각은 가급적 빨리 버리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국가안보와 경제위기의 총체적 책임을 져야할 정부가 국가안보와 경제위기를 매개로 해서 국민과 정치권에 대한 위압적 자세를 보이는 상황에서 과연 협치가 가능할 것인지 매우 의심스럽다"고 비판했다. 사드 배치 문제와 관련해서도 김 대표는"국무총리와 국방장관이 성주에서 험한 꼴을 보게 된 것도 정부의 무능과 불통에 대한 국민 불신의 극대화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이런 상황에서 박 대통령이 전면적인 쇄신 차원에서 청와대와 내각의 개편을 단행할지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박 대통령이 레임덕을 조기 차단하고, 후반기 국정운영을 제대로 이끌고 가기 위해서는 내각과 청와대 참모진 개편이 불가피할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여당 한 중진은 내각 개편 시기 등과 관련해 "박 대통령이 여름휴가 기간 중 많은 고민을 하지 않겠느냐"며 "8'15 광복절을 전후로 내각 개편 등을 단행할 수 있지 않겠느냐. 시기를 더 이상 미룰 수 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