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드 배치지로 발표한 성주군 성주읍 성산리 성산포대는 인구밀집지역과 바짝 붙어 있다. 성주 읍내에서 사드 배치지를 올려다보면 동네 뒷산이나 마찬가지다. 성주 군민들이 전자파 공포를 느낄 수밖에 없는 이유다. 서울 언론에서는 자신들의 일이 아니기에 '지역이기주의'니 '님비현상'이니 하면서 아무렇게나 떠들지만, 누구나 성주에 가보면 주민들의 심정을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해발 383m의 사드 배치 예정지에서 내려다보면 한눈에 들어오는 것이 성주읍 전경이다. 1.5㎞ 거리에 불과해 손에 잡힐 정도로 가깝다. 성산 정상을 중심으로 직선거리 3㎞ 이내에 1천379가구, 2천891명의 주민이 산다. 그 반경 안에 초교 2곳, 중고 1곳, 성주군청 등이 위치해 있다. 성산포대를 중심으로 반경 5.5㎞ 이내에는 성주읍을 비롯해 1만5천 가구, 3만 명이 거주한다.
정부가 아무리 안전하고 문제없다고 홍보해도, 그곳에서 일상을 영위하는 주민들은 곧이곧대로 믿기 어렵다. 자신의 머리 위로 강력한 전자파가 날아다니고 있다는 상상만 해도 두려움과 공포를 느끼지 않을 사람이 있는가. 서울 언론에서는 사드 전자파가 일상생활 수준과 비슷하다며 정부 입장만 홍보하고 있지만, 서울 한복판에서 이런 일이 벌어져도 과연 그렇게 할지 궁금하기 짝이 없다.
미군이 괌의 사드 기지를 공개하면서 안전성이 입증됐다고들 떠들지만, 성주 사례와는 비교 대상이 아니다. 괌의 사드 레이더 기지는 해변에서 3㎞ 떨어진 무인지대에 설치돼 있다. 일본 교토부의 교가미사키의 사드 레이더 기지 또한 서쪽 끝 해안가에 있다. 오히려 미국'일본은 주민 안전을 위해 외딴 해변가에 배치하는 슬기로운 모습을 보였지만, 우리 정부는 전혀 딴판이다.
정부는 사드 배치지를 정하면서 인구밀집지역이나 주민 의사를 고려한 흔적이 아예 없다. 국회 동의를 피하기 위해 기존 유도탄 포대를 골라 서둘러 발표하는 편의적이고 즉흥적인 발상밖에 보여주지 않았다. 주민 수만 명이 사는 인구밀집지역에 대한 특단의 대책이 없는 한, 사드 배치는 제대로 추진되지 않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