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민 '성주 봉쇄' 움직임…사드, 들어갈 수 있을까

입력 2016-07-13 20:04:05

실제 배치되기까지 가시밭길 예고

한민구 국방부 장관과 애슈턴 카터 미국 국방장관이 13일 한미 공동실무단의 사드 성주 배치 건의안을 최종 승인, 사드 배치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그러나 성주 군민들이 사드 배치 철회를 요구하며 강경 입장을 보이고 있어 사드가 성주에 들어와 배치되기까지는 적잖은 진통이 예고되고 있다.

정부는 사드가 배치되는 성주읍 성산리의 공군 방공기지인 성산포대 부지를 주한미군지위협정(SOFA) 절차에 따라 주한미군에 공여할 계획이다.

성주는 사거리 200㎞에 달하는 북한의 300㎜ 신형 방사포의 타격권에서 벗어나 있으며, 행정구역상 동해안 쪽에 위치해 중국을 덜 자극할 것이란 점도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성주의 사드는 수도권에서 100~200㎞ 거리 북한지역에 배치된 스커드 미사일 뿐 아니라 노동'무수단 미사일까지 요격이 가능하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한미 당국은 최대한 신속하게 사드 기지를 건설, 늦어도 내년 말에는 한반도에서 사드를 실전 운용한다는 계획이다. 내년 말 배치하는 것이 목표지만 더 당길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악의 경우, 주민들이 성주를 봉쇄하는 상황도 나타날 수 있어 사전에 지역 민심을 진정시켜야 배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성주의 한 주민은 "사드를 받으면 성주 참외 브랜드 가치가 폭락해 한 해 1억원을 넘게 버는 참외 농사를 망치게 되고 북한의 타격 대상이 돼 성주 1, 2차 산업단지에 들어오려는 기업도 없을 것"이라며 "중앙정부는 성주를 아주 시골로 봐서 사드가 들어와도 피해가 없을 거라고 얘기하지만 실제는 완전히 다르다. 주민들은 5만 명이 모두 나서 성주를 봉쇄하자는 얘기도 하고 있다"고 분개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