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공포대는 성주읍서 1km 이내…군민 절반이 전자파 영향"

입력 2016-07-11 19:55:22

곳곳에 사드 반대 현수막 "반대 삭발·단식투쟁 불사"

정부 및 국방부가 11일 사드 배치 지역으로 성주를 거론하자, 김항곤(사진 중앙) 성주군수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사드 배치 결사반대를 주장했다. 성주군 제공
정부 및 국방부가 11일 사드 배치 지역으로 성주를 거론하자, 김항곤(사진 중앙) 성주군수가 이날 기자회견을 열고 사드 배치 결사반대를 주장했다. 성주군 제공

정부와 국방부가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 배치 지역을 결정해 놓고도 발 빠른 공개를 하지 않으면서 혼란만 키우고 있다.

한미 당국이 지난 8일 사드의 한반도 배치 방침을 발표하면서 배치 지역을 공개하지 않은 이후 배치 장소를 둘러싸고 온갖 추측이 쏟아지고 있다. 그간 주한미군 기지가 있는 경기 평택'오산, 경북 칠곡, 전북 군산 등이 후보지로 꼽히더니, 11일부터는 지금까지 거론되지 않았던 '제3의 장소'라는 관측이 나오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11일 사드 배치 지역으로 성주가 거론되자 성주군과 성주군의회, 성주군사회단체협의회들이 기자회견을 여는 등 성주 주민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

이날 중앙정부와 국방부 측은 "주민 반발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지대에 있는 우리 군의 레이더기지나 방공기지에 사드를 배치할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레이더기지나 방공기지는 고지대에 있어 사드 전자파 유해 논란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와 관련, 성주의 방공포대는 호크 미사일이 퇴역을 앞두고 있으며, 부지 규모 등도 사드를 배치하기에 부족하지 않아 유력하다는 분석이 군 안팎에서 제기된 것으로 알려졌다.

성주는 11일 발칵 뒤집혔다. 성주군은 사드 배치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대책회의를 여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기자회견 후 성주읍과 9개 면에는 사드 배치 반대 현수막이 일제히 걸렸다.

성주군은 "정부 및 국방부가 사드 배치지역으로 성주를 아예 거론조차 못하게 해야 한다"며 대규모 반대집회 준비에 들어갔다.

김항곤 성주군수는 "성산 방공포대는 성주읍과 불과 1㎞ 이내에 있기 때문에 사드가 배치되면 성주읍 주민들은 물론 성주지역 절반이 레이더의 전자파 영향을 받게 된다"면서 "주민은 물론 참외 농사, 지역 경제 붕괴, 지역 개발 등에도 절대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 사드 배치를 결사 저지하겠다"고 밝혔다.

노광희 성주군의원도 "정부가 일방적으로 사드를 배치한다고 하는 것은 있을 수 없다"면서 "생존권과 자주권 확보를 위해 사드 반대 삭발이 아니라 단식투쟁까지도 불사하겠다"고 말했다.

정찰용 레이더기지 공군부대가 들어서 있는 '영양 일월산 배치설'도 이날 나돌면서 영양이 발끈하고 나섰다.

영양군의회 한 의원은 "일월산 공군부대로 인해 이런저런 피해도 만만찮은데 사드 배치는 얼토당토않은 말"이라고 했다.

한편 이날 성주'영양 외에 포항'예천 등도 '후보지 유력설'이 나돌자 해당 지역 민심이 들끓고 있다.

포항 이상원 기자 seagull@msnet.co.kr

영양 엄재진 기자 2000jin@msnet.co.kr

성주 전병용 기자 yong126@msnet.co.kr

예천 권오석 기자 stone5@msnet.co.kr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