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년 넘게 회사에 다니고 있는 중년의 남성 직장인은 신입사원보다 당뇨병에 걸릴 위험이 3.6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호신 고려대간호대 교수팀은 국내 한 무역회사에 다니는 사무직 직원 1천150명을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13년까지 10년간의 건강검진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정신건강의학 학술지 '세이지'(SAGE)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신입사원을 기준으로 근속기간에 따른 대사증후군 관련 지표(복부비만·고혈압·고중성지방·낮은 고밀도콜레스테롤·공복 혈당상승)의 위험도를 확인했다.
그 결과 20년차 이상 남성 직장인에게서는 신입사원보다 중성지방이 150㎎/㎗ 이상일 위험이 3.01배 높았다.
허리둘레가 90㎝ 이상으로 복부비만일 확률은 2.7배, 당뇨병(공복혈당 100㎎/dl 이상)에 걸릴 위험은 2.67배 증가했다.
특히 22년 이상 회사생활을 한 남성 직장인은 신입사원과 비교하면 당뇨병 위험이 3.68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직장인은 비사무직에서 사무직으로 업무변동 등 다양한 변수로 인해 대사증후군 관련 5가지 지표 변화의 신뢰성이 없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유호신 교수는 "온종일 앉아서 생활하는 직장인은 복부비만, 중성지방, 당뇨 등 대사증후군 위험이 크다"며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당뇨 위험이 가장 크게 나왔는데 직장에서 식이조절과 운동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유 교수는 "건강은 건강할 때 지켜야 한다"며 "우리나라 직장인들을 보면 대체로 회사에 다닐 때 건강관리를 못 하고 퇴직 후에 여러 질병에 걸려 고생을 한다"고 지적했다.
젊을 때 직장인 건강의 문제는 향후 국가 전체 의료비 부담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정부 개입이 필요하다는 게 유 교수의 주장이다.
그는 "우리나라 직장인 건강문제는 개인, 회사, 정부 누구도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미국에서는 회사에서 당뇨병관리프로그램을 시행할 경우 회사가 부담하는 건강보험료 할인 등의 혜택을 주는데 국내에도 이런 대책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