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준-김정주, '보험성 뇌물' 수사 본격화

입력 2016-06-06 18:32:18

검찰 "김 회장 소환조사 불가피"…야 "둘 사이 커넥션 실체 밝혀야"

진경준(49'사법연수원 21기) 검사장의 '주식 대박' 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가 이번 주 본격화할 전망이다.

6일 검찰에 따르면 서울중앙지검 형사1부(부장검사 심우정)는 이달 3일 법무부로부터 제출받은 공직자윤리위원회 조사 자료와 법무부의 자체 감찰 자료를 검토하며 소환 대상을 선별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검찰은 진 검사장이 사들인 넥슨 주식이 현직 검사와의 친분 유지를 위해 회사 측이 매수 기회를 제공한 '보험성 뇌물'이 아닌지를 놓고 국민적 의구심이 커진 만큼 최대한 신속히 수사한다는 방침이다.

진 검사장에게 4억원이 넘는 주식 매입 대금을 빌려줬다는 김정주 넥슨 창업주(48'현 넥슨 지주회사 NXC 회장)의 소환조사도 불가피하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검찰 관계자는 "김 회장의 소환조사는 아직 검토된 바 없다"면서도 "의혹이 불거졌으니 진위를 확인해봐야 하지 않겠느냐"라며 김 회장 조사를 기정사실화했다.

수사 과정에서 고발 사안인 뇌물수수 혐의 외에 친구 사이인 진 검사장과 김 회장 간 부적절한 거래나 진 검사장의 재산 증식 과정에서 다른 불법 행위가 확인될 경우 파장은 더욱 확산할 수도 있다.

김수남 검찰총장도 사안의 중요성 등을 감안해 진 검사장 수사가 마무리된 뒤 법무부에 징계를 청구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총장은 진 검사장이 애초 소명과 달리 넥슨으로부터 주식 매입 자금을 빌렸다는 사실을 보고받은 뒤 최근 간부회의에서 "의혹을 명명백백하게 밝히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당은 6일 진경준 검사장의 '주식 대박'에 국내 최고 게임사 넥슨의 자금이 연루된 데 대해 철저한 수사를 촉구했다. 특히 수사 미진 시 국회 청문회뿐만 아니라 특검 가능성까지 언급하며 검찰을 압박했다.

더민주당 이재경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에서 "검찰은 조직의 명예를 걸고 진 검사장과 김정주 넥슨 창업주 간 커넥션의 실체를 파헤쳐야 한다"면서 "어떤 경위로 넥슨의 주식을 매입하고, 넥슨의 돈으로 넥슨의 주식을 사고선 거짓말을 했는지 밝혀야 한다. 뇌물이 아니냐는 의혹의 실체적 진실을 반드시 규명해야 한다"면서 "그렇지 않으면 이 사건은 검찰의 손을 떠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민의당 장진영 대변인도 논평에서 "검찰은 자기 식구 비리 사건에 대해 특임검사를 임명한다거나 흔한 특별수사반을 꾸리는 성의조차 보이지 않은 채 당사자의 변명에 끌려 다니며 어영부영 넘어가려 하고 있다"며 "검찰이 자정할 수 있는 최후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 것을 경고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