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법 개정안 거부권…야 "1특별법+4청문회" 반발 속 일하는 국회로 압박할 듯
박근혜 대통령이 5일 아프리카와 프랑스 순방길에서 돌아오면서 국회와의 협치, 경색된 남북관계 등 대내외적으로 산적한 문제를 어떻게 풀어나갈지 주목된다.
특히 박 대통령은 아프리카 순방기간 중 상시 청문회법을 골자로 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 국회 상임위원회 배분 등 원(院) 구성을 둘러싼 여야 갈등과 맞물려 정부와 야당 간 협치가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 3당은 박 대통령의 거부권 행사에 대해 일제히 '꼼수' '협치약속 위반'이라고 비판을 쏟아냈다.
또 세월호 특별조사위 활동기간 연장 특별법, 가습기 살균제 피해 진상규명특위 설치 및 청문회, 어버이연합 사태 청문회, 법조비리 청문회, 백남기 씨 진상 규명 및 공권력 남용 방지를 위한 청문회 등 '1특별법 4청문회' 추진에 합의하면서 여권을 몰아붙이고 있다.
야당은 특히 어버이연합 사태 청문회 등을 통해 국정원과 청와대 개입설을 캐내겠다는 의도를 보이고 있고, 원 구성 협상 파행과 관련해서도 '청와대 개입설'을 주장하며 청와대와 여권을 압박하고 있다.
이런 면에서 박 대통령이 20대 국회 시작부터 불거진 여야 간 대치국면 및 야당의 공세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며 국정을 풀어나갈지 눈길이 쏠리고 있다. 박 대통령은 일단 여야 간 대치국면에 대해 '여야가 풀어야 할 문제'로 일정 정도 거리를 두면서 20대 원 구성 난항 등 국회 가동이 늦어지면 민생과 경제에 부담을 줄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국회를 압박할 가능성이 높다. 박 대통령은 우간다 방문 중이던 지난달 30일에도 20대 국회 개원과 관련해 "'국민을 섬기고 나라를 위해 일한 국회'로 기억되기를 바란다"며 '일하는 국회'를 거듭 강조했다.
장기 경색국면으로 접어든 남북관계도 풀어야 할 난제로 꼽힌다. 북한 문제를 둘러싸고 주변 강대국들의 움직임도 복잡하게 전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리수용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의 방중을 계기로 북중 대화에 시동이 걸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공조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은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까지 압박하면서 북한의 자금줄을 전방위로 차단하고 나섰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은 이번 순방을 통해 아프리카와 유럽에서 다져놓은 북핵 공조 체제를 더욱 확대해 북한의 제재 이완 시도에 대처할 것으로 보인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