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성 육아휴직' 중소기업으로 확산…1분기 115% 급증

입력 2016-04-25 19:14:49

과감히 육아휴직을 하는 '용감한 아빠'가 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의 남성 육아휴직자가 크게 늘어나는 추세다.

25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남성 육아휴직자는 1천381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7.3% 증가했다. 전체 육아휴직자(2만1천259명)에서 남성이 차지하는 비율도 6.5%를 돌파해 지난해 같은 기간(4.5%)보다 크게 높아졌다.

기업 규모별로 보면 종업원 수 100인 이상∼300인 미만 기업에서 115.4% 급증해 중소기업으로 남성 육아휴직이 확산하고 있었다. 300인 이상 대기업의 남성 육아휴직 증가율은 56.7%로 훨씬 낮았다.

지역별로 보면 남성 육아휴직자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68.9%가 집중됐다. 증가율은 전북(121.4%), 서울(94.6%), 경남(80.6%) 순으로 높았다.

현재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는 남녀 각각 최대 1년간 육아휴직을 할 수 있다.

육아휴직 대신 근무시간을 단축해 육아에 활용하는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이용자도 올해 1분기 638명에 달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7.9% 급증했다.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근로자는 최대 1년간 근로시간을 주 15∼30시간으로 단축하고, 감액된 임금의 일부(통상임금 60%)를 지원받을 수 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도 100인 이상∼300인 미만 중소기업 이용자의 증가율이 386.7%에 달했다. 이는 300인 이상 대기업(19.1%)보다 훨씬 높은 수치다.

고용부 나영돈 청년여성고용정책관은 "일터 문화를 바꿀 수 있는 남성 육아휴직과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가 널리 확산할 수 있도록 대국민 수요조사 등을 통한 제도 개선과 보급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