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쓰비시, 14년간 연비자료 속여…車10종 넘게 문제"

입력 2016-04-22 23:30:08

日정부, 연비제도 개선하기로…"일본 상표 신용저하"

일본 미쓰비시(三菱)자동차가 연비 산출 관련 측정을 하면서 10년 넘게 국가 규정을 무시한 것으로 파악됐다.

마이니치(每日)신문은 미쓰비시자동차가 공식 규정과 다르게 연비 관련 수치를 측정한 차량이 10여종에 달한다고 22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미쓰비시자동차는 적어도 2002년 이후 일본 정부가 정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공기저항치를 측정해 왔다.

주행저항치는 차가 달릴 때 타이어가 도로에 접하며 생기는 저항(구름저항)과 공기와 접촉해 생기는 저항을 숫자로 나타낸 것으로 연비를 검사, 산출하는데 필요한 정보다.

미쓰비시자동차는 미국에서 채택된 방법으로 주행저항치를 측정했으며 이는 일본 방식보다 시간이 적게 걸린다고 마이니치는 전했다.

자동차 개발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이같은 방법을 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미쓰비시자동차가 이렇게 주행저항치를 측정한 것이 이미 문제점을 인정한 4종 외 다른 자동차의 연비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는 아직 파악되지 않았다.

국토교통성은 미쓰비시자동차로부터 정규 방식으로 측정한 주행저항치를 제출받아 조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부가 규정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주행저항치가 측정된 차량은 현재 확인된 것만 연비조작 차량 4종을 포함해 십수 종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마이니치는 전했다.

교도통신은 스포츠유틸리티 차량(SUV) '파제로' 등 약 10종이 일본법이 정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연비 자료가 측정됐다고 보도했다.

연비 조작이 밝혀진 4종의 판매 가격은 종류에 따라 108만∼193만엔 수준이며 그간 판매한 62만5천대를 다시 사들인다면 단순 계산하더라도 그 비용이 수천억엔(수조원 수준)에 달할 것이라고 통신은 분석했다.

미쓰비시자동차는 이달 20일 연비조작을 인정하면서 조사 결과 실제보다 연비에 유리한 주행저항치를 사용한 것이 파악됐다고 밝혔다.

일본 정부는 연비조작 사태를 계기로 연비 검사 제도를 손질할 계획이다.

현재는 연비 검사에 사용하는 자료를 자동차 제조업체가 신고하게 돼 있는데 이 자료가 사실과 다름이 없는지 확인하기 어렵다.

아사히신문은 제조업체가 제출한 자료를 산출하기 위해 하는 시험의 실적치를 정부에 내게 하거나 측정시험 일부에 정부 검사원이 입회하는 등의 방법이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시이 게이이치(石井啓一) 일본 국토교통상은 22일 기자회견에서 연비 제도를 개선하겠다는 뜻을 표명하고 미쓰비시자동차가 일본 산업 전반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시이 국토교통상은 "오랜 기간 쌓아온 일본 상표의 신용을 실추시킬 것 같다"며 미쓰비시자동차가 판매한 차를 소비자로부터 되사는 등의 방식으로 성실하게 사태 수습에 나서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다카이치 사나에(高市早苗) 총무상은 미쓰비시자동차가 판매한 연비 조작 차량이 실제로는 친환경 차 기준을 충족하지 않는 것이 확인되면 감면 세금을 미쓰비시가 부담하도록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런 가운데 미쓰비시자동차는 연비 문제를 파악하고 한참 지난 후에 판매중단 조치를 한 것이 알려져 비난을 키우고 있다.

도쿄신문은 미쓰비시자동차의 내부조사를 담당 부문이 부정이 있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이달 12일 부사장에게 보고했으며 부사장은 이를 다음날 사장에게 보고했다고 보도했다.

미쓰비시는 사장의 지시로 부정이 있었다는 것을 14일 재확인했으며 사내에서 대책을 논의한 후 18일 제휴 관계에 있는 닛산(日産)에 이런 사실을 통지하고 19일 국토교통성에 구두로 사건의 개요를 설명했다.

미쓰비시는 20일 오후 국토교통성에 연비조작을 서면 보고했고 이날 문제 차종의 생산·판매를 중단했다.

사장이 문제를 보고받은 시점을 기준으로 1주일이나 지난 후에 판매를 중단한 것에 관해 미쓰비시자동차 측은 "중대성을 고려해 재확인 등을 하기 위해서"였다고 반응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