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2020년까지 2천대 보급 목표…市, 지주식 설치비용 400만원 지원
지난 15일 대구 수성구 두산동 대우트럼프월드아파트 주차장. 이동형 충전기를 주차장벽 콘센트에 꽂은 후 쏘울 전기차에 연결해 충전하는 시연이 한창이었다. 콘센트 아래 녹색 패널에 충전기를 대자 '삑' 소리와 함께 충전을 시작한다는 안내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지난달 이 아파트단지에 전기차 충전 설비를 설치한 ㈜파워큐브 관계자는 "이동형 충전기에는 고유번호와 '전파식별'(RFID) 태그가 붙어 있어 전기차 소유주가 아파트 공용전기를 몰래 쓸 수가 없다. 충전기 손잡이 안의 계량기를 통해 전기요금이 차량 소유자에 부과된다"고 했다.
◆전기차 보급, '홈(Home) 충전' 인프라가 관건
대구시가 올해 본격적으로 전기차 민간 보급에 나서고 있는 가운데 아파트 등 공동주택 거주자용 전기차 충전시설 확충이 전기차 보급 확대의 관건이 될 전망이다.
18일 현재 대구에는 전기택시와 민간'공용 전기차 114대와 지난달 28일부터 자동차 대리점을 통해 구매접수를 받은 일반인용 전기승용차 152대(목표 197대) 등 모두 266대가 운행 중이거나 운행을 앞두고 있다. 시는 내년 236대 등 2020년까지 2천 대의 전기차를 대구지역에 보급한다는 목표다.
현재 시는 공동주택 거주자에게 지주식 충전기 설치비용(400만원)과 80만원 상당의 이동형 충전기를 지원하며 공동주택 충전 인프라 확충에 나서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시민 중 절반이 아파트, 다세대 주택 거주자이기 때문에 전기차 보급 대수를 늘리려면 공동주택용 충전시설 확충이 꼭 필요하다"며 "그러나 전기차 충전시설을 아파트에 설치하려면 아파트입주자대표회의 동의가 필요한데, 전기를 훔쳐쓰는 행위를 우려하거나 전기차에 전용(충전 또는 주차) 공간을 내줄 수 없다는 등의 반대 의견이 아직 많은 편"이라고 했다.
전기차 시대가 시기상조라는 인식은 충전 인프라가 절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달 말 시행을 앞둔 '환경친화적 자동차 개발 및 보급 촉진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에 따르면, 500면 이상 주차장이 있는 공공건물, 공공이용시설, 공동주택은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공동주택에 전기차 보급이 확대되려면, 전기차 소유주가 편하게 충전할 수 있는 '홈(Home) 충전' 인프라가 꼭 필요하다"고 했다.
◆이동형 충전기, 민원 소지 없앤다
이런 상황에서 공동주택 등지에 이동형 충전기가 잇따라 설치되면 전기차 보급에 한몫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대구에선 환경부 지정업체인 ㈜파워큐브가 주차장에 콘센트가 이미 설치된 아파트들을 대상으로 이동형 충전기 사용이 가능한 전파식별 태그를 설치했다. 수성구의 대우트럼프월드아파트와 남구 봉덕동 삼성래미안아파트에 각각 105개와 50개다. 한 개 콘센트마다 2대씩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 이동형 충전기는 본체에 계량기, 손잡이에 RFID 태그가 내장돼 있다.
파워큐브 서경종 영업부 이사는 "전기차는 일반 전기요금보다는 훨씬 싼 가격에 한국전력으로부터 전기를 공급받는다. 이동형 충전기를 사용하면 매일 6~8시간 전기차 완충에 전기요금(봄'가을 야간이용 기준 1㎾당 52.5원)이 5만원이 채 안 된다"고 했다. 경기도에 본사를 둔 이 업체는 5년 전부터 특허기술을 개발, 서울과 제주시에서 이동형 전기차 충전시스템을 보급하고 있다.
서 이사는 "지주식(고정식) 충전 설비를 아파트에 설치한 뒤 전기차 소유주가 이사를 가버리면 원상 복구나 유지 보수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동형 충전기는 이런 문제가 없다"고 했다.
전기차용 이동형 충전기를 분실 또는 도난당해도 문제가 없다. 신용카드처럼 분실신고를 하면 다른 사람이 쓸 수 없기 때문이다. 전기요금은 충전설비 관리업체가 한국전력으로부터 요금고지를 받아 개개인에 따로 청구하기 때문에 공동주택 주민들이 전기 도난을 걱정할 필요도 없다.
대구시 정재로 미래형자동차과장은 "올해 대구 도심에 완속 80기(충전시간 4~5시간), 급속 20기(30분 내외) 등 100기 충전기를 설치할 계획"이라며 "특히 대구 아파트단지를 대상으로 전기차 보급 및 홍보를 적극적으로 펼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