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른이 된 나'에게 쓴 편지 그대로…대학생·직장인, 활기찬 청년으로
2012년 4월 22일 전남 담양의 한 야영장에서는 8명의 중학교 일진 학생들이 땅을 파 작은 병을 그 속에 묻었다. 이들은 학교 안에서는 '패밀리', 학교 밖에서는 '일진회'라는 이름으로 몰려다녔던 속칭 문제아들이었다. 경찰 조사에서 학생 26명의 돈, 자전거, 점퍼 등을 빼앗고 폭력을 휘둘렀던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경찰은 이들을 처벌하기보다는 계도하는 것이 더 옳다고 판단, 1박 2일 선도 캠프로 데려갔다.
캠프에는 강력팀 형사들과 부모도 함께했다. 이 캠프에서 아이들은 부모와 성인이 된 미래의 자신에게 편지를 써 타임캡슐 안에 담아 야영장 인근에 묻었다. 아이들은 캠프에서 지내는 동안 어느덧 형이자 삼촌이 된 강력팀 형사들과 나중에 함께 타임캡슐을 꺼내자고 약속했다.
땅속에서 잊히던 타임캡슐은 1박 2일 캠프를 기획하고 이끈 당시 학교폭력 담당 강력팀장인 광주 북부경찰서 김영래 경위의 손으로 4년 만에 다시 빛을 봤다. 아이들이 자신에게 적은 편지에는 "너는 자랑스러운 아버지와 어머니의 아들이다"고 마음을 다잡고 꾹꾹 눌러쓴 글,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공부! 공부! 공부!를 하겠다"고 적은 성공의 다짐, "뭐가 되었니? 지금은 정신 차렸니? 학교는 잘 다녔니?"라고 미래의 자신에 던지는 물음 등이 적혀 있었다.
부모에게 보낸 편지에는 "학교는 안 다니더라도 검정고시를 보고 싶다"라는 바람, "이제는 착한 일을 해 경찰관 형사님들을 만나고 싶다"는 반성과 "몸 아픈 할아버지를 못 돌봐줘서 죄송하다"는 후회 등도 담겨 있었다.
김 경위는 이 편지를 아이들에게 보내기 위해 낡은 수첩을 꺼내 연락했다. 문제아였던 아이들은 이제는 20대 성인이 돼 사회에서 자리를 잡고 있었다.
학교를 밥 먹듯 결석하던 3명의 아이는 번듯한 대학생이 됐고, 나머지 아이들도 취업했거나 취업을 준비하며 활기차게 생활하고 있었다.
김 경위는 "처벌보다는 선도 캠프를 통해 문제아를 계도하려는 시도에 대해 의문과 염려가 많았다"며 "캠프 이후 도서관에 다니며 검정고시 시험을 준비하는 아이들의 변화된 모습에서 희망을 봤다"고 당시를 되돌아 봤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