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당 된 與…'금값' 무소속 끝까지 안 받을까

입력 2016-04-14 22:30:02

안상수 당선자 가장 먼저 '복당 신청'…김태호 "새 확장 필요, 문호 열어야"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에서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중앙선대위 해단식에서 "총선에서 보여준 국민의 엄중한 심판을 겸허히 받아들인다"면서 "선거 참패의 모든 책임을 지고 오늘부터 당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밝힌 뒤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새누리당이 4'13 총선에서 원내 제1당 자리를 야당에 내줌에 따라 각자도생에 성공한 여당 성향 무소속 의원들의 복당 논의가 본격화될 전망이다. 1석 차이로 더불어민주당에 제1당 지위를 내준 새누리당으로선 전력보강이 시급하다.

신호탄은 인천에서 당선된 안상수 무소속 의원이 쏘았다. 안 의원은 14일 새누리당에 복당을 신청했다. 안 당선자는 "오늘 조건 없이 새누리당에 복당하기로 결심했다"며 "여유를 갖고 앞으로의 진로를 생각하려 했으나, 현재 상황이 너무 엄중하고 새누리당이 위기에 빠져 있기 때문에 좌고우면하지 않고 바로 복당하기로 결심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은 선거운동 과정에서 과반의석 확보를 장담하며 '복당은 없다'고 공언했었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다. 여소야대(與小野大) 구도이기 때문에 무소속 탈당파의 복당 신청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당장 이대로는 국회의장 자리도 야당에 내줄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이 총선에서 제1당의 지위를 확보한데다 국민의당까지 합치면 과반을 훌쩍 넘기 때문에 표결로 갈 경우 국회의장은 야당 몫이 된다.

친박계 김태호 최고위원은 이날 '무소속 복당'에 대해 "보수적 가치를 지켜가기 위한 전체 세확장이 필요하다"며 "새로운 질서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뜻이 있는 사람이 있다면 지금 문호를 과감히 여는 것이 맞지 않나 생각한다"고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친박계인 원유철 원내대표와 최경환 의원이 선거운동 과정에서 유승민 의원 등 공천 파동 끝에 탈당한 인사들을 겨냥해 "복당은 절대 불가하다"고 못을 박은 것에 비하면 완전히 달라진 분위기다.

비박계인 홍문표 새누리당 제1사무부총장도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해 "무소속 분들의 복당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며 "집권당으로서 형태나 내용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대승적인 차원에서 당의 새로운 면을 만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총선에서 새누리당을 탈당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가 당선을 확정한 인사는 유승민(대구 동을), 주호영(대구 수성을), 장제원(부산 사상), 윤상현(인천 남을), 강길부(울산 울주), 안상수(인천 중'동'강화'옹진), 이철규(강원 동해'삼척) 당선인 등 7명이다.

무소속으로 당선된 후보들 가운데 상당수는 당선 후 복당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문제는 친박 윤상현 의원을 제외한 나머지는 비박이나 반박(反朴)계라는 점이다. 비박계는 무소속 당선자들에 대해 조건 없이 복당시켜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친박계는 유승민 의원의 복귀가 거북할 수밖에 없다.

유 의원을 복당시킬 경우 박근혜 대통령의 '배신의 정치 심판론'에 대한 반발로 비치고, 지도부 구성과 당 진로 등을 두고 첨예한 대립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