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규정 강화 통제시스템 운영…공무원증·출입증 있어야 '패스'
관광객들이 몰리고 있는 경북도청 신청사가 공무원 시험 준비생의 정부청사 침입 후 불똥을 맞았다. 경북도가 보안규정을 대폭 강화하기로 하면서 관광객 등 외부인 출입을 엄격하게 통제하기로 한 것이다.
경북도는 최근 전 부서에 '청사 출입보안 강화 및 근무기강 확립 계획' 공문을 내렸다. .
이 계획에 따르면 1층 현관 로비와 휴게실, 구내식당은 기존과 다를 바 없이 관람객들에게 개방된다. 하지만 청사 내 전 사무실은 지금까지와 달리 마음대로 드나들 수 없다. 출입통제시스템이 운영되기 때문이다.
이 시스템은 통합방재센터에서 청사 출입문을 일괄 통제하는 것으로, 사전에 등록된 공무원증이나 출입증이 있어야만 출입할 수 있다. 심지어 특정 과 공무원이 다른 과 사무실에 들어갈 때도 자신의 공무원증으로는 출입문을 열 수 없다. 현재 완전히 개방돼 있는 체력단련실도 출입통제시스템 적용 대상이다.
김중권 경북도 자치행정국장은 "앞으로 각 실'과를 찾아오는 민원인은 본관 1층과 지하 1층 안내데스크를 통해 방문증을 받은 뒤 업무 담당 공무원이 직접 데리러 오는 방법으로 바뀐다"고 말했다.
경북도의 보안 강화 대책은 급증하는 관광객들의 청사 관람에는 큰 걸림돌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제대로 둘러볼 수 있는 길이 막힌 것이다.
지난 3월 10일 도청 신청사 개청식에 박근혜 대통령이 참석한 이후 전국적으로 명품 청사로 알려지면서 전국 출향인 단체와 산악회 등에서 도청 신청사를 찾는 발길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경북도 신청사에는 올들어 지난달 말까지 3개월 동안에만 18만여 명이 찾아온 것으로 집계됐다.
도청 신청사 관광객들은 안동의 대표적 관광지인 유네스코 세계유산 하회마을 방문객(올 들어 지난달 말 현재 16만3천500여 명'지난해 같은 시기 대비 10% 이상 증가) 숫자까지 끌어올리는 효과를 내고 있다. 도청 신청사가 새로운 관광지로 올라섰다는 증거다.
경북도의 청사 보안 강화 조치는 관광객들의 발길을 막는 동시에 도청 신청사의 공간 활용도도 떨어뜨릴 것으로 보인다. 도청 신청사는 층마다 마련된 휴식공간이 있으며 카페나 미술관이 연상될 정도로 감각적으로 연출돼 있다. 기존에는 외부 방문객들이 청사를 둘러보며 앉아서 쉬어갈 수 있는 공간이었지만 향후 외부인의 이용은 막힐 것으로 우려된다.
김현기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중앙정부 청사는 지나치게 보안이 강조된 반면 지자체 청사는 개방성이 강한 편"이라며 "최대한 방문객이 불편을 느끼지 않으면서 보안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접점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