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설탕과의 전쟁을 선포 했다. 7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우리 국민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당류 줄이기'를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2010년 이후 나트륨 줄이기 정책을 통해 일일 평균 나트륨 섭취량을 약 20%(2010년 4,878mg→2014년 3,890mg) 줄인데 이어 두 번째다. 당류는 과잉섭취 시 비만, 고혈압 등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데, 이들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연간 약 6.8조원에 달하기 때문이다.
식약처는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을 1일 총 에너지 섭취량(열량)의 10% 이내로 낮추는 것을 목표로 다양한 세부 전략을 포함하는 '제1차 당류 저감 종합계획(2016~2020년)을 발표했다. 종합대책의 주요 내용은 ▲국민 개개인의 식습관 개선 및 인식 개선 ▲당류를 줄인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 조성 ▲ 당류 줄이기 추진기반 구축 등이다.
식약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어린이·청소년·청년층(3∼29세)의 가공식품을 통한 당류 섭취량은 2013년에 이미 섭취기준을 초과하였고, 전체 국민의 가공식품을 통한 평균 당류 섭취량도 2016년에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가 '설탕과의 전쟁'을 공식 선포하면서 식품업계는 잔뜩 긴장하고 있다. 당류 저감을 위한 기술적 대응방안을 찾기에 부심하고 있지만, '설탕=나쁜 것'이라는 인식을 강화해 매출이 떨어지지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미 식품업계 전반적으로 당 저감을 위한 활동을 다양하게 벌어지고 있어 타격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