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에 이전한 공공기관들의 지역 인재 채용 비율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다. 이 때문에 공공기관들이 지역에 뿌리내리기 위한 노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달 31일 대구 혁신도시 9개 이전 공공기관과 경북 혁신도시 8개 이전 공공기관이 합동으로 지역 인재 채용 설명회를 열었다. 17개 공공기관의 올해 채용 인원은 1천748명이며 이 가운데 지역 인재로 208명을 선발키로 했다. 지역 인재가 전체의 11.9%에 불과한 수준이다.
지난해(평균 10%)보다 다소 상승한 수치이지만, 기대에 못 미치는 결과임은 분명하다. 지난해 전국 10개 혁신도시의 평균 채용률(12.8%)에 비해서도 떨어진다. 지난해 지역 인재 선발 비율이 평균 20%대에 달하는 부산'세종은 물론이고 10%대 후반의 경남'충남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다. 현재로선 대구'경북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지역 인재 선발에 소홀한 지역'으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대구'경북의 일부 공공기관은 정부의 지역 인재 채용 가이드라인(35%)이 권고 사항이라는 이유로 시늉만 내거나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기 일쑤다. 일부 기관은 신입사원 전형에 '이전 지역 인재'가 아니라 '비수도권 인재'로 분류해 마치 '지역 인재'를 선발하는 것처럼 꼼수를 썼다.
지역 인재 선발에 아주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경북에 이전한 공공기관들이다. 지난해에 고작 8%의 지역 인재를 뽑았지만, 올해에도 10%에 못 미치는 채용 계획을 내놨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지난 2년간 평균 지역 인재 할당률 36%를 기록했지만, 이마저도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원자력환경공단은 경주 방폐장이라는 기피 시설을 운영하는 기관인 만큼 지역민과의 상생을 위해서는 50% 이상의 지역 인재를 뽑는 것이 합당하다는 것이다.
공공기관마다 나름의 사정이 있겠지만, 지역에 둥지를 틀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지역 인재 채용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여론을 의식해 조금씩 뽑을 것이 아니라, 당장 내년부터 정부가 권고한 대로 35% 이상을 지역 인재로 할당하는 것이 옳다. 그렇게 해야 공공기관들이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고 지역민의 신뢰를 얻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