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D-10> "실탄이 없다"…대구 후보들 발만 '동동'

입력 2016-04-03 13:06:23

일부는 예비후보 기간에 법정 선거비용 70% 소진

 제20대 총선이 열흘 앞으로 다가왔으나 대구에서 출마한 후보 대부분이 선거비용 즉 '실탄'이 없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

 3일 새누리당 대구시당 등에 따르면 선거비용 제한액이 1억5천여만원인 한선거구에 공천을 받은 새누리당 A후보는 이미 제한액의 70%가량을 소진했다.

 선거 후 제한액의 5%를 초과하면 당선은 무효로 처리한다.후보측에서 회계상 실수 또는 착오로 선거비용으로 산정하지 않고 지출한 것을 선관위가 나중에 포착,선거비용에 포함하는 경우도 종종 있어 통상 후보들은 제한액의 75∼80%를 최고 한도로 보고 있다.

 따라서 A후보가 남은 기간 쓸 수 있는 비용은 제한액의 5∼10%에 불과한 셈이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A후보는 선거구별로 30명까지 쓸 수 있는 유급 선거운동원은 단 한 명도 등록하지 못했다.

 유급 선거운동원 일당을 7만원으로 산정해 놓아 하루에만 200여만 원이 필요하고 선거운동 기간(13일)을 모두 쓸 경우에는 2천만∼3천만원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A 후보는 대신 무급으로 쓸 수 있는 몇 안 되는 같은 정당 소속 보좌관,비서관,지방의원 등에게 선거운동을 부탁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는 상대 후보와 치열한 접전을 벌이고 있으나 얼굴을 알릴 시간과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애만 태우고 있다.

 A 후보가 이처럼 '실탄' 부족 현상에 직면한 것은 사상 유례없는 여당의 공천 파동이 직접적 원인이다.

 여당 텃밭인 대구에는 통상적으로는 늦어도 투표 60여 일 전에 공천자를 확정했다.그러나 이번에는 공천이 늦어져 불과 20여 일 전에야 후보를 정했다.

 단순히 수치상으로만 보더라도 예비후보 기간에만 40여 일이나 선거운동이더 필요했고 그만큼 소요 경비도 많아질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특히 피를 말리는 공천 경쟁에서 여당 예비후보들은 컷오프를 통과하기 위해 전화 여론 조사에 대비해 경쟁적으로 휴대전화 문자 메시지를 유권자에게 대량 발송할수밖에 없었다.

 문자메시지는 대부분 여론조사를 하니 본인을 찍어달라는 내용이고 일부 후보는하루에 수차례씩 이를 발송했다.

 실제로 A 후보는 4개월간 예비후보 기간에 6천여만원을 문자메시지 발송 비용으로 썼다고 한다.

 후보등록 마감 직전에 공천을 받은 대부분 여당 후보와 여당 공천에서 떨어지자후보 등록 직전에 탈당해 출마한 무소속 후보들도 공통으로 이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부 후보는 선거관리위원회를 통해 가정에 보내는 선거공보물 제작에 3천만∼4천만원을 쏟아부어야 해 3천만원 가량 드는 유세차 운행에도 부담을 느끼고 있다.

 B 후보 측 회계책임자는 "가랑비에 옷 젖는 줄 모른다더니 예비후보 기간에 보낸문자메시지 비용이 선거운동 전 기간에 사용할 수 있는 전체 가용 재원의 절반에 가깝다"고 하소연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