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새 역사 교과서 영토 관련 60%나↑

입력 2016-03-18 20:26:29

명성황후 계획적 시해 첫 기술…위안부 동원 강제성 반영 않아

18일 검정을 통과한 일본 고교 역사 교과서 6종 전체에 일본군 위안부 관련 내용이 반영됐다.

그러나 대부분이 일본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이나 반인도성, 피해자가 겪은 고초 등을 명시하지 않았다.

연합뉴스가 교과서 검정 자료를 확인한 결과 위안부 제도가 무엇인지 설명하지 않아 교과서 내용만으로는 피해자가 심각한 인권 침해를 겪었다는 사실을 알기 어렵도록 모호하게 서술한 사례가 많았다.

야마카와(山川)출판사의 일본사A와 일본사B 교재는 "전지(戰地)에 설치된 '위안시설'에는 조선'중국'필리핀 등으로부터 여성이 모집됐다(이른바 종군위안부)"고 기록했다.

시미즈(淸水)서원의 일본사A 교재는 "식민지나 점령지에서 모집된 여성들이 위안소에 보내지는 일도 있었다"고 기재했으며 아시아 여성기금 사업과 개인 배상을 요구하는 목소리 등을 소개했다.

도쿄(東京)서적의 일본사A는 "일본의 식민지나 점령지에서는 조선인이나 중국인'필리핀인'베트남인'네덜란드인'일본인 등 다수의 여성이 위안부로서 전지에 보내졌다. 위안소는 중국'홍콩'싱가포르'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일본의 오키나와제도'홋카이도'사할린 등에까지 있었다"고 기술했다.

다이이치가쿠슈샤(第一學習社)는 일본사A에서 "조선인을 중심으로 한 많은 여성이 위안부로서 전지에 보내졌다"고 설명했다.

기존 교과서와 비교하면 일부 출판사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본질을 흐리는 방향으로 검정 신청 단계에서 스스로 내용을 바꿨다.

시미즈서원은 "일본군에 연행돼"라는 설명을 "식민지에서 모집된 여성들"이라고 바꿨고 도쿄서적은 "위안부로 끌려갔다"는 표현을 "위안부로 전지에 보내졌다"고 고치는 등 아베 신조(安倍晋三) 정권의 입맛에 맞게 내용을 수정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관한 이들 교과서의 서술은 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짚지 못했으며 아베 총리가 계승하고 있다고 밝힌 고노(河野)담화의 정신에 비춰볼 때 크게 미흡하다는 평가를 받을 것으로 보인다.(연합뉴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