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공천관리위원회가 4'13 총선 공천 단수 추천지역 9곳에 구미을을 포함시키고 장석춘 전 한국노총위원장을 공천했다. 3선 중진으로 원조 친박계인 김태환 의원은 새누리당 후보로는 총선에 출마할 수 없게 됐다. 이를 두고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대구경북의 공천 물갈이를 위한 '논개작전'이란 해석이 나온다. 친박계인 이한구 공관위원장이 대구경북의 비박계 현역의원의 공천 배제를 위한 '명분' 확보를 위해 '우리 사람'부터 잘랐다는 것이다.
일찍부터 친박계가 대구경북의 '비박' 현역 물갈이를 공언해왔고, 올 들어 대구에서 대대적인 '진박 마케팅'이 벌어져 왔음을 감안하면 그런 해석은 상당한 설득력을 갖는다. 친박계가 추가 공천 작업에서 단수추천과 전략공천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대구경북 현역 물갈이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최대 관심사는 박근혜 대통령에게 '진실하지 않은 사람'으로 찍힌 유승민 전 원내대표가 물갈이 대상에 포함될 것이냐이다.
물갈이는 해당 지역 유권자가 납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일관된 기준에 따라 이뤄지면 된다. 그렇지 않다면 물갈이 대상자의 격렬한 반발을 불러오는 것은 물론 새누리당의 공천 전체가 계파 이익을 위한 '사천'(私薦)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현역의원의 물갈이 그 자체는 필요하고 시비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의정활동이 부진하거나 지역 유권자에 신망을 잃은 현역은 마땅히 교체돼야 한다. 결정이 공정하고 일관된 기준에 따라 이뤄지고, 과정이 지역 주민에게 투명하게 공개된다는 전제 아래서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공천 심사라면 이유를 공개하지 못할 까닭이 없다. 새누리당 공관위가 이번 1차 단수추천 지역을 발표하면서 기준이 무엇인지 밝히지 않은 것은 아쉽다.
대구경북 유권자에게 공관위의 결정에 무조건 따르라는 식이 되어서는 곤란하다. 대구경북은 새누리당의 최대 지지 기반이다. 그런 만큼 최고의 예의를 갖춰야 한다. 남은 과정은 친박이든 비박이든 대구경북 유권자가 납득할 수 있는 공정한 잣대로 공천이 결정되길 바란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