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할랄시장 진출, 대구 반면교사 삼아 먼 안목으로 할 일이다

입력 2016-03-06 21:21:24

전국 지자체가 앞다퉈 이슬람권을 겨냥한 할랄(Halal)식품 시장 진출에 나서고 있다. 세계 각국이 급성장하는 할랄산업에 주목하고 할랄식품 시장의 규모도 갈수록 커지고 있어서다. 인구도 증가세여서 현재 18억 명의 이슬람인은 2030년이면 22억 명이 될 전망이다. 이들의 할랄식품 시장 규모는 세계의 20%이고 매년 성장률도 20%쯤이다.

정부는 2013년 1조2천920억달러의 할랄시장이 2019년 2조5천370억달러로 늘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같은 할랄식품 시장의 급성장으로 2017년까지 15억달러를 수출하겠다는 목표다. 정부에 발맞춰 지자체도 다양한 할랄식품 해외시장 진출 사업을 벌이고 있다. 제주도는 대형 호텔과 음식점 등에 기도 시설을 마련하고 할랄 인증 대행기관과 함께 할랄식품 판매에 나섰다. 경남도 역시 할랄시장 개척을 위해 2억원을 편성하고 고등어와 조리묘 김 등의 할랄식품 등록을 추진 중이다. 강원도는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과 연계, 할랄타운을 만들고 할랄식품 서비스 등을 구상 중이다. 충남도와 부산시, 경기도 등도 가세하고 있다.

대구경북의 기업도 예외가 아니다. 지역 특산품인 인삼을 이용한 할랄식품 판매와 의약'화장품, 관광 등에 이르기까지 할랄산업 전반으로 진출을 넓히는 추세다. 이는 해외 소비자는 물론 국내 이슬람인도 겨냥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 현재 국내 거주 이슬람인만도 23만여 명에 이르고 한국 방문 관광객 역시 2014년 75만 명을 기록하는 등 매년 10만 명 이상 늘어서다. 경북관광공사가 지난해부터 중동 관광객 유치를 위한 현지 홍보 활동 등을 처음 시작하고 최근 대구경북연구원이 의료, 바이오, 관광 등 분야별 대구경북업체의 이란 시장 진출 방안을 내놓은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처럼 할랄 시장은 우리에겐 미개척 분야다. 그런 점에 비춰 대구시가 지난달 갑자기 정부 선정 한국형 할랄 6차산업 육성계획을 철회한 것은 전형적인 단견 행정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국비 지원 할랄사업을 일부 종교계 반발을 이유로 포기한 탓이다. 종교계 반대도 이해할 수 없지만 충분한 검토나 여론 수렴 없는 철회는 분명 잘못된 결정이다. 대구 사례가 다른 지자체에 반면교사가 되기를 바랄 뿐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