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핵·장거리 미사일에 대응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 채택이 막판에 생긴 '러시아 변수'로 결국 3월로 넘어가게 됐다.
정부 소식통은 29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안보리 이사국에 회람된 결의안 초안에 대해 최종 합의가 안 돼 우리 시간 및 뉴욕 현지 시간으로도 이달 내 채택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안보리 결의 초안에 대해 시간을 더 달라는 러시아 측의 검토가 끝나지 않아 현실적으로 29일 내 결의안 채택은 어렵다는 게 이 소식통의 설명이다.
안보리 전체회의에서 결의안을 채택하려면 안보리 15개 이사국이 초안에 대해 이견을 조율해 '블루 텍스트(blue text)' 상태가 돼야 하는데 러시아 측이 아직 확답을 주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나머지 14개 안보리 이사국은 안보리 초안에 합의한 상태다.
다만,러시아 외무부는 29일(현지시간)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무장관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전날 전화통화를 하고 안보리 대북 제재 결의안과 시리아 휴전 문제를 논의했다고 밝혀 미중간에 막판 조율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했다.
러시아 측이 결의안 초안에 동의하더라도 현지시간으로 1일은 채택이 어려운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 매월 1일은 안보리가 전체회의를 잡지 않고 한 달 전체계획을 짜는 것으로알려졌다.또 안보리 의장국도 2월 베네수엘라에서 다음 달 1일 앙골라로 넘어간다.
정부 소식통은 "현재로서는 빨라야 현지시간으로 2일,우리 시간으로 2일 밤늦게나 3일 새벽에나 채택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북한이 지난달 6일 제 4차 핵실험을 한 이후 29일 현재 55일째를 맞고 있다.
안보리는 북한의 1차 핵실험 때에는 5일 만에,2차 핵실험 때는 18일 만에,3차핵실험 때는 23일 만에 결의를 채택한 바 있어 이번에는 '최장 기록'을 세우는 셈이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