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 협박' 중국 대사 외교부로 불러 항의

입력 2016-02-24 20:18:11

정부 "中 안보에 영향 없다" 재확인

정부는 미국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가능성에 강력 반발하며 한중 관계 훼손 가능성을 언급하는 외교적 언사의 차원을 넘어 협박으로도 들릴 수 있는 수준까지 발언 강도를 높인 추궈홍(邱國洪) 주한 중국대사의 '외교적 무례'에 대해 외교부로 불러 공식적인 항의의 뜻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이날 오후 추 대사를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로 초치, 김홍균 차관보가 추 대사의 발언과 관련해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우리 정부는 추 대사에게 사드는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한 방어적 조치로서, 중국의 안보이익에는 영향이 없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앞서 청와대는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 문제는 증대되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우리의 자위권적 차원의 조치로 안보와 국익에 따라 결정할 사항이고 중국 측도 이런 점을 인식하고 있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청와대의 이런 대응은 무엇보다도 사드 배치 문제를 놓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사드 배치 논의가 본격화되는 시점을 앞두고 사드는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하면 검토해 결정할 우리 안보에 관한 문제로 주변국이 왈가왈부할 성격이 아니라는 점을 재확인한 것이다. 앞서 박 대통령도 지난 16일 국회 본회의 연설에서 사드 문제에 대해 "북한의 핵, 미사일 위협 등을 감안해가면서 우리의 안보와 국익에 따라서 검토해 갈 것"이라면서 "오로지 기준은 그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도 이날 "사드 배치 문제를 제기하려면, 그런 문제가 왜 발생했는지 근원부터 살펴보는 것인 순리"라고 했다. 사드 논란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으로 시작됐고, 이에 대응한 방어적 차원에서 사드 배치 여부를 검토 중이라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정부 안팎에서는 추 대사가 외교관으로서 발언의 표현과 수위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정부의 한 당국자는 "대사가 자국의 방침을 주재국에 전달할 수는 있지만 추 대사는 그렇더라도 좀 많이 나간 것"이라면서 비판했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