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가구 중 3가구 꼴 '1인 가구'…506만1천 가구, 30년 새 8배 급증

입력 2016-02-17 20:16:11

1인 가구가 최근 30년 동안 8배가량 늘어났다. 2035년에는 1인 가구 수가 2세대(부모+자녀) 가구 수에 육박할 전망이다.

17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가족변화에 따른 결혼'출산행태 변화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1985년 66만1천 가구이던 한국의 1인 가구 수가 지난해 7.7배인 506만1천 가구에 이른 것으로 추정됐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중은 1985년 6.9%에서 지난해 3.9배인 27.1%로 늘었다. 2035년에는 34.3%까지 늘 것으로 추산됐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2세대 가구의 비중이 가장 컸다. 2세대 가구에는 부부+자녀, 한부모+자녀, 부부+양친, 부부+한부모, 부부+자녀+부부의 형제자매 등의 형태가 있다. 2세대 가구는 1985년 67.0%(641만2천 가구)에서 2015년 47.2%(883만4천 가구)로 비중이 줄었다. 2035년에는 35.9%(799만4천 가구)까지 줄어 1인 가구와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1세대 가구(부부 가구)의 수도 한동안 증가 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전체 가구 중 1세대 가구의 비중은 1985년 9.6%(91만6천 가구)에서 지난해 19.2%(358만3천 가구)로 늘었다. 2035년에는 25.0%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