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최고 수준' 시장 점검태세
한국 경제가 살얼음판을 걷는 듯 위태롭다. 중국의 경기 둔화와 하락 일로의 국제 유가에다 북한 리스크까지 겹치면서 한 치 앞도 내다보기 힘든 형국이 됐다. 요동치는 국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 속에 그나마 선방하던 국내 주식시장마저 결국 급락세로 돌아섰다.
한국 경제의 가장 큰 위협 요소는 미국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와 중국의 경기 둔화였다. 미국 금리 문제는 일단 한숨 돌린 형국이지만 중국 충격파는 비켜가지 못했다. 중국의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6.9%)은 1990년(3.8%) 이후 25년 만에 처음 7% 아래로 떨어졌다.
국제 유가는 여전히 맥을 못추고 있다. 지난해 세계 3대 원유 가격 평균은 2005년 이후 1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 비중의 58%를 차지하는 산유국 등 신흥국이 저유가로 휘청거리면서 조선'건설'플랜트 등 주력 수출분야에 직격탄을 맞고 말았다.
중국과 산유국으로의 수출 부진 탓에 이달 10일까지 수출액은 87억5천200만달러로 지난해 동기보다 27.1%나 줄었다. 2월 전체 수출이 준다면 사상 최장인 14개월 연속 감소다.
북한 리스크가 터지며 국내 금융시장도 크게 흔들렸다. 코스닥지수는 최근 이틀 새 무려 10.69% 떨어졌고, 12일엔 4년6개월 만에 처음 서킷브레이커(임시거래중단)가 발동됐다.
세계의 눈은 15일 재개장하는 중국 증시에 쏠리고 있다. 7~13일 춘절(설) 연휴로 중국 증시가 휴장한 사이 전 세계 주식시장이 20% 이상 급락하면서 요동을 쳤기 때문이다.
정부는 시장 점검태세를 최고 수준으로 격상하고, 유사시 시행할 '컨틴전시 플랜'(상황별 대응계획)을 가다듬고 있다. 기획재정부는 12일 내놓은 '최근 경제동향(그린북)'에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따라 수출이 올 상반기까지 마이너스 흐름을 보일 것"이라는 판단을 내렸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