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혈관 출혈로 의식 장애, 마비 등 후유증을 겪을 수 있는 뇌출혈 환자 10명 가운데 8명은 50대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고혈압, 당뇨 등으로 혈관 건강 상태가 좋지 않으면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4일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0~2014년 진료비 지급 자료를 보면 '뇌출혈'(질병코드 I60-I62) 진료인원은 2010년 7만7천27명에서 2014년 8만3천511명으로 8.4% 증가했다.
뇌출혈로 병원은 찾은 환자는 매년 평균 2.0%씩 늘었다. 같은 기간 진료비는 3천800억9천만원에서 4천753억9천만원으로 연평균 5.8% 증가했다.
뇌출혈은 뇌혈관의 출혈이 원인이 돼 발생하는 뇌혈관 장애이다. 발생 원인 및 위치에 따라 의식저하, 마비, 언어장애, 극심한 두통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2014년을 기준으로 뇌출혈 환자는 50대 이상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전체 뇌출혈 진료인원 가운데 50대 이상 연령층의 비중은 82.4%였으며 70대 이상(33.2%), 50대(25.0%), 60대(24.1%) 순으로 환자가 많았다.
특히 70대 이상 연령층은 인구 10만명당 환자가 689명으로 30대 이하(20명)의 34.4배에 달했다. 인구 10만명당 발생빈도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성별로 보면 남녀 환자 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50대 이상 여성 환자는 전체 여성 환자의 86.4%를 차지해 남성(78.4%)보다 높은 편이었다.
뇌출혈은 나이에 따라 여러 가지 원인이 작용할 수 있다.
높은 연령대에서는 고혈압, 종양, 뇌동맥류, 약물 등에 의한 경우가 많지만 젊은 연령대에서는 뇌동맥류, 혈관기형, 종양 등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뇌출혈은 한 번 발생하면 후유증이 남는 경우가 많기에 예방이 중요하다. 고혈압, 당뇨, 흡연, 고지혈증, 음주, 심혈관질환 등 위험인자는 철저히 관리해야 한다.
양국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신경외과)는 "평소 고혈압, 당뇨 등이 있다면 꾸준히 약을 복용하고 과도한 음주와 흡연을 삼가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