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순조로운 대구국가산단 조성, 조기 활성화에 힘 쏟아야

입력 2016-02-12 00:01:00

대구국가산업단지 기반 공사가 올해 8월쯤 마무리돼 하반기부터 입주 기업의 공장 착공이 가능하다는 소식이다. 지난해 생활용수를 공급하는 가압장 공사를 끝낸 데 이어 현재 1단계 구역의 간선도로 포장과 배수지 공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10일 대구시가 발표했다. 지역 숙원사업인 국가산단 조성이 탄력을 받고 있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2009년 국가산업단지로 지정된 대구국가산단은 전체 854만9천㎡ 규모에 사업비가 약 1조7천억원 들어가는 대형 프로젝트다. 1단계 구역(약 592만㎡)은 이미 공정률 80%를 넘어섰다. 지난해 9월 시작한 2단계(약 262만㎡)의 경우 2020년 준공이 목표다. 공장 신축과 정상 가동까지 아직 시간이 더 필요하지만 조금씩 외형을 갖춰가고 있다는 점에서 대구를 상징하는 산업 중심지 탄생이 멀지 않았다.

국가산단은 지금까지 3차에 걸친 용지 분양을 성공리에 마쳤다. 높은 분양 경쟁률만 봐도 산단의 미래와 발전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다. 지난해 국가물산업클러스터(64만9천㎡) 기업 집적지 분양과 함께 산단의 골격은 거의 완성 단계에 접어들었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의료'정밀 등 첨단기계 업종과 미래형자동차,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이 본격 가동에 들어가려면 시간이 조금 더 필요하지만 산단이 본궤도에 오르는 것은 시간문제다.

문제는 국가산단이 지역을 대표하는 기업 집적지로서 얼마만큼 빠르게 제 위상을 정립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이뤄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이다. 기업 활동에 아무런 걸림돌이 없는 비즈니스 환경과 체계적인 지원이 곧바로 대구의 산업 경쟁력과 직결하고 지역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외형만으로는 산단의 성공을 담보할 수 없다. 산단 활성화는 핵심 기업의 유무와 이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는 행정 지원 등 완벽한 산업생태계 구축에 달려 있어서다. 주변 인프라는 물론 연구개발 환경, 마케팅, 컨설팅 등 기업 활동에 전혀 불편함이 없도록 완벽한 지원 시스템을 갖출 때 가능한 일이다. 대구시가 지역 산업발전 전략을 거듭 재점검하고 글로벌기업'강소기업 등 핵심기업 유치와 정착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을 당부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