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독도도서관 건립 필요하다

입력 2016-02-02 00:01:00

일본 시마네현의 중심도시인 마쓰에시 북쪽에는 일본 국보로 지정된 마쓰에성(松江城)이 자리 잡고 있다. 1611년 세워졌다고 하는 마쓰에성은 벚꽃 명소로도 알려져 있어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이기도 하다.

국내외 많은 관광객이 드나드는 이곳 옆에는 시마네현 제3청사가 있는데, 그 앞의 표지판에는 '다케시마는 일본 고유의 영토입니다'라는 망언과 함께 '다케시마 자료실'이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고 있다. 이곳은 원래 현립박물관이었으나 시마네현이 2005년에 이른바 '다케시마의 날'을 정한 데 이어 2007년, 이 건물 2층에 자료실을 마련한 것이다.

규모는 그리 크지 않지만 일본의 '다케시마' 홍보 및 연구활동을 총괄하는 최고 핵심시설이다. 자료실의 실질적 운영 주체는 16명 정도의 비상근 연구원으로 구성된 총무과의 '다케시마 문제연구회'로 알려져 있다. '다케시마 문제연구회'는 5% 이하였던 독도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인지도를 70% 이상으로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이곳 자료실에 소장하고 있는 도서와 자료의 반 이상은 우리 한국의 주장을 담은 것들로 채워져 있다. 심지어 '일본해'가 아닌 '동해'로 표기된 한국지도를 펼쳐놓고 있는가 하면, 한국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힘을 실을 수 있는 자료도 빠짐없이 설명해 놓고 있다. 최근 한국의 독도에 관한 동향도 잊지 않고 소개하고 있다.

이는 일본 시마네현이 '다케시마 자료실'을 설치한 목적이 단순히 자료실 기능에 머무르거나 자신들의 논리를 홍보'설득하는 것이 아님을 말해준다. 자신들의 논리를 주장하기 위해 한국의 입장과 논리를 분석하고 연구하여 극복하겠다는 의도인 것이다.

시마네현의 이러한 치밀함은 최근 한일 관계 정상화를 위한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총리 간의 한일 정상회담과 관계없이 더욱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시마네현의 논리에 따라 일본 정부는 이미 2014년부터 향토 역사학자들을 중심으로 한 전문가들을 통해 센카쿠열도와 독도가 일본 고유 영토임을 나타내는 행정문서와 신문기사 등을 조사하고 있다. 또 2015년 말에는 국제법상 일본 고유 영토라고 증명하는 자료가 보존되어 있는 시마네현 등에 전문가들을 파견하여, 자료가 상하지 않도록 디지털 데이터 보전 등의 방법을 강구할 것임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같이 볼 때 독도가 자신들의 땅이라는 망언을 일삼는 일본에 우리는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의 일회성 행사에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예산과 인력을 낭비해온 것은 아닌지 안타깝다. 실제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와 관련한 예산은 2015년 기준으로 경상북도의 독도 관련 예산 91억여원의 3.4% 정도인 3억2천만여원에 지나지 않는다.

그럼에도 시마네현은 적은 예산과 인력으로도 독도에 대한 역사적인 고증 축적, 독도 영유권 논리의 연구개발 등은 물론 한국이 독도를 불법 점거했다는 주장을 국외에 효과적으로 홍보하는 활동을 적극 펼치고 있는 것이다.

일본의 망언에 흥분만 할 것이 아니라 지금부터라도 체계적으로 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사실을 입증하는 역사적 자료를 완벽하게 준비하고, 일본의 논리를 압도할 수 있는 연구활동과 역사인식을 갖추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것이 바로 독도를 관할하고 있는 경북에 '독도도서관'이 건립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아직도 우리나라에 독도와 관련한 도서관 하나 없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다.

일개 지방자치단체에 지나지 않는 시마네현의 목소리가 일본 중앙정부의 외교 정책으로 그대로 반영되는 현실을 바라보면서, 독도를 관할하고 있는 경상북도는 지금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디로 가야 하는지에 대한 근본부터 점검하고 고칠 것은 고쳐야 한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