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학교 밖 청소년 보호는 사회 책임이다

입력 2016-01-23 00:01:00

대구시와 대구'경북교육청이 학업 중단 등으로 학교에 다니지 않거나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생에 대한 지원을 늘리기로 했다. 대구시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꿈을 키워 주는 대구'를 목표로 앞으로 5년 동안 200여억원을 들이기로 했다. 처음부터 학교 밖 청소년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복지나 맞춤형 지원을 더 강화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는 교육청, 경찰청, 청소년쉼터, 청소년유해환경감시단 등 관련 기관들과 협조해 학교 밖 청소년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대안교육기관을 늘릴 계획이다. 경북도교육청도 올해부터 학교 내 대안교실 설치 운영 학교를 57개교로 늘렸다. 이곳에서는 학교 부적응 학생에 대해 개인별 맞춤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대구시와 양 교육청이 학업 중단이나 부적응 학생에 대해 더욱 관심을 쏟는 것은 최근 경기도 부천에서 장기 결석한 어린이가 결국 아버지에 의해 살해된 것으로 나타난 것이 촉발점이다. 교육부는 장기 결석자에 대한 전수조사에 들어갔고, 이와 함께 관계기관이 대책을 마련한 것이다. 대구시의 학교 밖 청소년은 2014년 기준 8천여 명으로 나타났고, 전국적으로는 2012년 기준 28만 명으로 추산된다.

학교와 담을 쌓은 청소년은 다양하다. 부적응 학생도 있지만, 학업 중단, 퇴학 등으로 아예 학교라는 테두리 안으로 들어가지 못하거나, 성적 등을 이유로 상급 학교 진학이 가로막힌 사례도 있다. 우동기 대구시교육감은 최근 기존 교육제도가 품을 수 없는 학생들을 어떻게 수용할 것인가에 대한 고충을 이야기했다. 그는 "고교 신입생 정원이 중학교 졸업생을 모두 수용할 수 없다"며 "대구는 지난해 136명, 올해는 24명이 고교에 진학하지 못했는데 이들에 대한 대책 마련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대구시와 양 교육청이 소외된 학생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이 될 대책을 내놓은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우 교육감의 고민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들을 사회가 보호하지 못한다면 결국 비행이나 범죄의 길로 빠질 가능성이 커서다. 청소년 범죄가 많음을 비난할 것이 아니라 학교나 사회가 그 책무를 다했는지를 먼저 반성해야 한다는 뜻이다. 대구시와 대구'경북교육청은 여러 대책을 내놓은 만큼 철저하게 시행하고 관리해 단 한 명의 학생도 잘못된 길로 가지 않도록 도와야 한다. '청소년이 우리의 미래'라는 말은 사회의 강력한 보호 책임을 강조한 것이다.

최신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