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20대 10명 중 6명은 일상생활에서 욕설을 썼고, 특히 습관적인 욕설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국어원은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20대 이상 70대 미만 남녀 5천 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15년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44.4%가 '욕설 또는 비속어를 자주 혹은 가끔 사용한다'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64.5%, 30대 47.9%, 40대 40.1%, 50대 36.8%, 60대 이상 32.1%로, 나이가 어릴수록 욕설 사용 비중이 컸다. 욕설'비속어를 사용하는 이유로는 44.1%가 '기분이 나쁠 때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21.8%가 '습관적으로', 20.6%가 '친근감을 주기 때문에'라고 응답했다. 30대 이상에서는 '기분이 나쁠 때'라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높은 데 비해 20대는 '기분이 나쁠 때'(28.8%)와 '습관적으로'(27.9%)가 거의 비슷했다. 예능 프로그램 출연자의 욕설'비속어 사용에 대해서는 37.7%가 '청소년들에게 나쁜 영향을 줄까 봐 걱정이 된다', 25.7%가 '품위가 없어 보인다'고 밝혔다.
경어 사용은 전반적으로 '반드시 유지'존속해야 한다'는 의견이 82.0%로 압도적이었지만, 구체적인 상황별로는 다소 인식의 차이를 드러냈다. 예컨대 가정 내에서 부모님께는 반드시 경어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했지만, 배우자나 형제, 자매와 대화할 때는 경어 사용 비중이 크게 떨어졌다. 일상생활에서 종종 접하는 '요금은 2천원이세요'와 같은 사물 존칭에 대해서는 64.7%가 '부자연스럽다'고 인식했다. 통신언어는 '의미를 알 수 없는 표현들로 인해 우리말이 파괴되고 있다'(복수응답'59.2%), '젊은 층들이 주로 사용하는 말로 세대 차이를 느끼게 한다'(59.1%)와 같은 부정적 인식이 더 많았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철우 "안보·입법·행정 모두 경험한 유일 후보…감동 서사로 기적 만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