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화미소 -김현옥(1963~ )
이제는 할 말 있어도
말 못 하겠네
말이 벽이 되는 슬픔을 지나
이제는 할 말 있어도
고요한 미소로 말을 막겠네
말이 진실의 문 하나도 열지 못하는
절망을 지나, 이제는 할 말 있어도
서늘한 가슴에 묻어두겠네
세월 지나 그 사무친 말들
가슴에 연꽃으로 피어난다면
그 환하고 황홀한 순간
시들지 않는 시 한 송이
가슴 시린 그대에게 건네리니
가슴과 가슴 사이
시의 다리 위에서 나는 기다리리,
아름다운 염화미소를
(전문. 『그랑 블루』. 문학세계사. 2013)
-------------------------
비트겐슈타인이 "말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고 말했을 때, 그 침묵은 말할 수 없는 그것으로 넘어가는 징검다리로서의 침묵이다. 침묵은 정지해 있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는 것. "말이 벽이 되는 슬픔"과 "말이 진실의 문 하나도 열지 못하는 절망" 속에서 침묵으로서의 시는 "그 사무친 말들"을 꽃으로 피워내는 운동인 것이다. 최소한 시인들은 그렇게 믿고 있다. 그러나 '말할 수 있는 것에 대해 침묵하는 것'이 근대 시민으로서 미달된 것이라면 "할 말 있어도 고요한 미소로 말을 막"고 "서늘한 가슴에 묻어두겠"다는 의지는 과도한 절망이거나 낭만성이 아닐까? 해야 할 말이 너무 많은데 말이다. 요즘의 내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다.
▶염화미소=마음에서 마음으로 전하는 일. 석가가 연꽃을 들어 대중에게 보였을 때 가섭만이 그 뜻을 깨달아 미소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