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前 대통령 영원한 안식…국회 영결식 1시간20분 엄수
한국 민주화 운동의 거목, 영원한 의회주의자, 거산(巨山) 김영삼 전 대통령이 26일 영결식을 끝으로 영원한 안식에 들어갔다. 이로써 김대중(DJ)'김영삼(YS)으로 대표되는 '양김 시대'도 역사의 뒤안길로 완전히 사라졌다.
김 전 대통령의 영결식은 서거 닷새 만인 이날 국회의사당에서 눈발이 흩날리는 가운데 오후 2시부터 1시간 20분 동안 부인 손명순 여사와 차남 현철 씨 등 유가족, 이명박 전 대통령과 부인 김윤옥 여사, 노무현 전 대통령의 부인 권양숙 여사, 황교안 국무총리, 김수한 전 국회의장을 비롯한 각계 대표와 시민 등 7천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수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해외순방에 따른 과로와 감기가 겹쳐 영결식 대신 이날 낮 서울대병원 빈소를 방문해 김 전 대통령의 영정을 배웅하고 유족을 위로했다.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도 영결식에 불참했다.
이날 영결식은 국기에 대한 경례와 묵념, 고인의 약력 보고, 조사와 추도사 낭독, 종교의식, 생전 영상 상영, 헌화'분향, 추모 공연, 조총 발사 등의 순서로 진행됐다.
장례위원장인 황 총리는 조사를 통해 "김 전 대통령은 평생 우리나라 민주화를 위해 헌신했다. 대도무문(大道無門)의 정치 철학과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으로 국민과 더불어 민주화의 길을 걸었다"면서 "나라를 위해 헌신한 발자취를 우리 국민은 잊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수한 전 의장은 추도사에서 "대통령님은 민주주의와 민권을 위해 모든 것을 남김없이 바치신 희생과 헌신의 삶을 사셨다"면서 "대통령님을 모시고 정치 역정을 함께한 많은 후배'동지들이 자신의 자리에서 이 나라 정치를 바로 세우고, 임께서 염원하셨던 상생과 통합, 화해와 통일의 그날을 반드시 실현해낼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영결식 직후 김 전 대통령의 운구행렬은 상도동 사저와 내년 완공을 앞둔 기념도서관에 들렀다가 서울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으로 향했다. 김 전 대통령은 재임기간 군대 내 사조직 하나회 척결, 금융실명제 도입, 역사 바로세우기를 앞세워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 구속 등 사회 전반의 부정부패 척결과 개혁을 이뤄냈다.
댓글 많은 뉴스
삼성 라이온즈의 '아픈 손가락' 최충연과 양창섭, 기지개 켜나
"커피도시 부산"…부산시, 월드커피챔피언 3인과 부산형 커피 음료 만든다
의성군, 산사태 특보 기준 통일·대응 강화
[속보] 특검 "추경호, 계엄 직후 尹뿐 아니라 한덕수와 통화"
[TV] 낯선 땅으로 건너온 조선인의 생존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