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백승주 전 차관의 출마에 구미 여론이 싸늘한 이유

입력 2015-11-20 01:00:08

내년 4월 총선에서 구미갑 지역구에 출마가 확실시되고 있는 백승주 전 국방부 차관에 대한 구미 여론이 차갑다고 한다. 경상북도와 구미시는 국방신뢰성센터 구미 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지만, 최종 유치 지역은 대전으로 결정됐다. 그 이유가 백 전 차관의 고향에 대한 '무신경'이라는 것이 구미의 여론이다. 유치 지역 결정 과정에서 백 전 차관이 큰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했는데, 그렇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때문에 구미시에는 "힘 있을 때도 고향 일에 별 관심이 없었는데, 뒤늦게 고향을 위해 봉사하겠다면 믿을 사람이 아무도 없을 것"이란 분위기가 팽배해있다고 한다. 이에 대해 백 전 차관은 "국방부 차관이 후보지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할 수 있는 일은 극히 제한적이었다. 나름대로 절차가 있다 보니 구미가 유치하지 못한 것이고, 나 자신도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해명했다.

이런 해명이 사실인지, 비판 여론을 무마하기 위해 꾸며낸 말인지는 쉽게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만약 국방신뢰성센터 후보지 결정이 공정한 절차에 따라 이뤄졌다면 백 전 차관을 나무랄 이유는 없다. 국방부 차관이 고향을 배려하는 것은 좋지만, 공정성을 해치면서까지 고향을 챙기는 것은 안 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국방부 차관이 다른 지역 출신이고, 그의 영향력으로 후보지가 구미가 아닌 지역으로 결정됐다고 할 때 구미 시민은 매우 불공정하다고 할 것이다.

그래서 백 전 차관의 출마에 대한 구미 여론의 냉각은 다른 차원에서 볼 필요가 있다. 고향을 떠난 뒤 고향을 전혀 돌아보지 않다가 갑자기 정치인이 돼 고향에 봉사하겠다는 사람들에 대한 전반적 거부감을 새누리당은 깊이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 주민에겐 그런 사람들의 '봉사' 약속이 계속 양지에만 있으려는 립서비스로 들리기 때문이다.

역대 대구경북 국회의원 중 상당수가 실제로 그랬다. 지금은 정계를 은퇴한 야당 출신 유명 정치인도 대구에 출마하면서 낙선해도 대구에 남아 대구 발전을 위해 힘쓰겠다고 했지만, 낙선 후 소리없이 대구를 떠났다. 중앙에서 쌓은 경륜이나 인맥의 활용 가치와 그들의 '무혈입성'에 대한 거부감을 조화시키는 공천 묘수를 기대한다.

최신 기사